하고 싶은 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주에 출간되어 이제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간『박문호 박사의 뇌과학 공부』신간 도서가 출시 초반에 교보, 예스24, 알라딘 등 주요 도서판매 사이트에서 과학분야 베스트에 랭크되는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책의 출간은 박사님 개인의 저술이기에 앞서, 우리 박자세 회원들의 뇌과학 공부의 산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는 증표이자 박자세가 추구하는 과학문화 운동을 사회에 확산시키는데 도약의 계기가 될 큰 사건입니다. 모든 도서가 그렇듯이 발매 초기의 판매세 확산과 홍보가 그 책의 성공여부를 결정짓고, 장기적으로 스테디 셀러로 자리잡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게되므로 회원 여러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이 책은 박문호 박사님이 10여년간 박자세 '특별한 뇌과학' 강연을 통해 얻은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뇌과학의 핵심을 정선된 그림을 곁들여 명쾌하게 서술하고 그 공부하는 방법까지도 친절하게 안내를 해주므로 뇌과학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한 필독서라 여겨지며, 그동안 공부해오던 지식을 짜임새있게 정리하시는데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아래에 본 책의 내용을 발췌 요약하여 소개드리오니 주위에 많이 추천 및 홍보하여 주시고, 뇌과학에 관심있는 분들이 꼭 필요한 책에 흥미를 가질수 있도록 그 존재를 있는그대로 널리 알리는데 적극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DF 파일을 링크하오니, 홍보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을 뇌과학에 관심있는 주위 분들에게 많이 전달하여 책이 홍보될수 있도록 활동을 부탁드립니다.
※ 조만간 김영사와 박자세 공동으로 서평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으니 여러분의 뜨거운 관심 당부드립니다..
- 뇌과학공부_소개_01.jpg (307.5KB)(139)
- 뇌과학공부_소개_02.jpg (305.2KB)(99)
- 뇌과학공부_소개_03.jpg (317.1KB)(91)
- 뇌과학공부_소개_04.jpg (241.9KB)(185)
- 뇌과학공부_소개_05.jpg (304.6KB)(157)
- 뇌과학공부_소개_06.jpg (309.5KB)(98)
- 뇌과학공부_소개_07.jpg (351.0KB)(81)
- 뇌과학공부_소개_08.jpg (300.1KB)(145)
- 뇌과학공부_소개_09.jpg (453.5KB)(80)
- 뇌과학공부_소개_10.jpg (453.7KB)(129)
- 뇌과학공부_소개_11.jpg (359.9KB)(114)
- 뇌과학공부_안내.pdf (25.36MB)(55)
- 뇌과학공부_소개.jpg (359.9KB)(89)
- 그야말로 뇌공부의모든것.png (864.3KB)(117)
- 171128_조선일보전면광고(용량조정).jpg (386.9KB)(76)
- Keep_River_NP_10.png (4.06MB)(139)
- BrainStudy_Intro.pdf (2.60MB)(441)
- 뇌과학공부_책소개.png (1.25MB)(83)
- 뇌과학공부_책소개_01.png (997.7KB)(169)
- 뇌과학공부_책소개_02.png (1.04MB)(112)
- 뇌과학공부_책소개_03.png (1.04MB)(91)
- 뇌과학공부_책소개_04.png (1007.7KB)(147)
- 뇌과학공부_책소개_05.png (1.20MB)(186)
- 뇌과학공부_책소개_06.png (1.14MB)(112)
- 뇌과학공부_책소개_07.png (1.18MB)(174)
- 뇌과학공부_책소개_08.png (1006.1KB)(210)
- 뇌과학공부_책소개_09.png (850.7KB)(73)
- 뇌과학공부_책소개_10.png (841.6KB)(108)
- 뇌과학공부_책소개_11.png (2.22MB)(202)
- BrainStudy_Intro2.pdf (3.84MB)(505)
올 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체시계의 기전을 밝힌 과학자들이 받았습니다. 핵심 그림 중 생체시계와 관련된 9번째 그림에서 시상하부를 따라 뇌과학공부 P 252~254로 가봅니다. 생체시계의 주인공 중앙사령탑 SCN( 시교차상핵 supraoptic chiasmatic nucles)이 나옵니다. 망막에서 빛을 입수한 신호를 SCN에서 받아 내분비계(솔방울샘: pineal gland, 멜라토닌 호로몬 분비), 여러 장기(말초생체시계) 의 생리적 경로로 보내지면 SCN의 생체시계에 맞춰 동시적으로(synchronistically) 작동합니다. 그리고 생체시계 기원을 추적하면 서호주 학습탐사에서 봤던 샤크베이의 시아노 박테리아(광합성의 시작) 라 합니다. 핵심그림을 그리던 기억들, 그리고 다시 생체시계의 가치와 의미를 더해 P 252~254 그림 3개를 그렸더니 어느새 5시간 훌쩍~ㅎ, 생체시계의 영향을 받는 우리의 행동(섭생, 수면, 기상, 운동), 호로몬 대사 조절(포도당/랩틴, 코티졸/멜라토닌)입니다. 이것은 동시적이나 비동시적냐에 따라 우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우리가 과학을 공부하는 것, 뇌과학을 공부하는 것은
더 잘 알게되면 삶이 더 풍성해지고 생존(건강)에 유리한 쪽으로 선택된 행동을 하게되겠지요
생물체의 생체시계가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태양 빛을 이용하여 생존에 유리한 쪽으로 진화해왔다는 것이 경이롭습니다.
생체시간의 의미를 잘 알고 웰빙에 도움이 되어야겠어요
이번 노벨생리의학상은 세계인들의 웰빙에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오늘 현재 뇌과학공부 뇌과학분야 알라딘 1위,yes 24 1위, 교보문고 과학주간 3위로 선전하고 있습니다.
즐겁고 유익한 뇌과학공부, 선전하고 있는 뇌과학공부
우리 모두 전하고 알려주기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