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후기
살아있는 모든 생물은 138억년 우주의 진화과정에서 생겨난 산물이며 46억년 지구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어마어마한 존재들입니다.
길가에 피어나는 이름모를 야생화와 어둠속에 기어다니는 바퀴벌레 한 마리까지도 소중하게 여겨야할
이유입니다.
이렇게 생명이라 이름붙여진 모든 것은 자연의 점진적 변화에 적응해 살아남은 최적의 생존 형태를 표현합니다.
사무실 한 구석의 작은 화분조차도 그 좁은 토양에서 양분을 흡수하고 태양빛과 유사한
형광등 불빛의 광자를 받아 광합성을 하여 잎과 줄기를 키우고 꽃도 피워 씨앗도 만들어 냅니다.
생명의 선택은 그렇게 온갖 곳에, 아니 온 세상에 널려 있는 일상이었던 것입니다.
바로 '공진화'의 현장입니다.
지금 우리는 물속에 살던 선배, 대지로 올라온 선배, 나무를 타던 선배들의 형질을 하나도 버리지 않았습니다.
조금 변형해서 사용할 뿐입니다.
생명과 아무런 관계가 없을줄 알았던 암석조차도 칼슘과 나트륨을 내놓고 인간의 생각속으로 들어왔습니다.
세상 모든 물질이 함께 움직이고 있음을 알게되고 한치도 벗어날 수 없음을 눈치채게 됩니다.
작은 화분속 초록의 잎도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하는 동안 자유라디컬이 쌓여 산화되고
자연의 원래 자리로 돌아갑니다.
자연의 부름은 서서히 노화되고 잎이 바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인간을 제외한 모든 생물은 자연의 노화 현상과 죽음을 기꺼이 받아들입니다.
인간이 자연에 배워야할 덕목입니다.
기꺼이 받아들이는 포용력의 선택 말입니다.
인간만이 이 자연의 순환 고리를 중간에 끊어 생존의 일탈권에 개입을 합니다.
어차피 가야할 숙명임에도 잠시 늦춰보고자하는 인간의 오만입니다.
바로 선택에 인간의 의지를 끼워넣었기 때문입니다.
선택에 의해 세상에 오지 않았지만 선택되었다는 것을 자각하는 순간, 결말도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온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그래서 그 중간과정은 본인이 끝없이 선택하는 과정임을 알고 선택을 통해 벗어나고자 했던 그 무엇을 끝없이
추구합니다.
본질을 떠나 상상의 존재를 만들어낸 인간이 결코 빠져나오기 힘든 수렁이 바로 오만(hubris)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자연의 '공진화'를 들여다봐야 합니다.
사무실 바닥에 깔린 화강암판에서 장석과 운모와 석영을 찾아내야하고 빌딩 기둥에 덧입혀진 시멘트에서
조개껍질의 무늬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연질의 지느러미를 수없이 단련하여 근육을 만들었던 틱타알릭(Tiktaalik)과 그 근육을 이용해 대지를
어기적거렸던 아칸토스테가(Acantostega) 선배의 강인한 형질이 아직 내 뼈와 근육을 지배하고 있음도 알아야
합니다.
과학이라는 디테일이 촘촘이 엮어내는 진화의 그물은 이제 모든 생명을 아울러 건져올리고 있습니다.
과학은 실재가 없다고 생각한 현상을 물리적 실체로 보여주고 증명해내는 디테일입니다.
과학은 한치도 벗어날 수 없고 꼼짝할 수 없는 수갑입니다.
아니 과학이 생명과 실체와 존재와 우주를 만들어내고 보여주는 신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하면 과장일까요?
다시 3억5천만년전 물속을 헤엄치던 선배를 되돌아 봅니다.
대지로 올라와 산소 호흡을 시작한 선배를 떠올려 봅니다.
더 멀리 36억년전 태양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산소를 만든 시아노박테리아 선배까지 거슬러 올라가봅니다.
내 뼈와 근육과 허파와 브레인에까지 살아있는 그들의 모습을 오버랩시켜 봅니다.
지금 내 모습이 그들의 장점을 모자이크해서 붙여놓은 화신임을 보게 됩니다.
46억년 생명의 대장정이 펼쳐진 지구표층의 모습이 어찌 아름답지 않을 수 있겠고
그 자연에서 생존하는 생명으로 '지금 이 순간'을 살고 있음이 어찌 눈물겹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지금 이 순간'의 경이를 알게해준 모든 생명에 감사할 뿐입니다.
따뜻한 봄볕이 참 반가운 날입니다.
와우 단숨에 술술
수업시간에 아 하던 느낌들이 바로 이거였구나
진화의 관점에서 우리는 밥상에 숫가락만 얹은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더 더욱 글들이 와닿습니다.^^*
5억년 긴시간 이렇게 짧게 느껴지다니요.
글을 읽고 읽어면서 공진화속
우리 선조들께 숭고 해집니다.
아가미가 허파로,
천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목의출현,
귀막힌 어깨출현,
대뇌기저핵 출현,
가슴 뭉클함이 봄날
새생명과 함께 '공진화' 는
딥너링 AI 시대 진행형인것
같으네요~^^
동양에서 여의주를 머금은 용같이 생명의 변화무쌍함을 나타내고 서양에서 알라딘 램프속의 지니같이 뜻대로 소원을 이루어주는 자유자재로운 변화가 생명과 물질속에 있다고 봅니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생명의 공진화!
빅뱅으로부터 137억 년, 지구로부터 46억년,
21세기 초엽에 자리한 우리가 어떻게 해야 느린 듯 너무 빠르게 지나치는 생명의 모노레일에 다가갈 수 있을까요?
동조코일을 몇 회나 감아야 그 공진점에 맞출 수 있을까요?
몇백 번, 아니 몇백만 번, 그것도 않으면 수 억만 번이라도 감아야 되는지 ...
참 어렵고 힘드네요. 그 것 찾아가는 길이,
그 길이 '박자세 공부'인가요?
'박자세'가 우리를 거기 데려다 줄 수 있을까요?
그럴 거라 믿고 마냥 나와 보긴 합니다만(맹목도 아니지만, 아직은 확신도 ~) ...
부디 박자세가 지향성 좋은 high gain의 야기안테나(Yagi ant.)가 되어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생명과 물질을 포함한 시공을 관통하는 46억 년 지구 생명의 공진점에 적중하길 빌어봅니다.
- 글 잘 읽었습니다.
"~ 조금 변형해서 사용 ~"이란 표현이 공감이 가네요. 댓글에 "술술"이란 말이 나왔습니다만, 저는 "멈칫멈칫"하지 않을 수 없더군요. 술술 물 흐르듯 읽기엔 아직 저의 수준이. ㅎㅎ. 올리신 글이 여러 가지를 반추하게 만드네요. 감사합니다. -
많은 사람들이 여기 저기 많이 기웃거려보고 고민하는 문제입니다.
"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해서 말입니다.
호모사피엔스가 생존하는 한 영원한 물음일 겁니다.
깨달음의 인지공간은 제각각이고 개인적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깨달은 것을 아무리 설명해봐야 타인은 '그런가보다'할 정도뿐입니다.
그래서 이미 존재의 의미에 이미 도달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 근처까지 간 사람도 있을 것이며
이제 막 고민의 문턱을 기웃거리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나마 여기저기 기웃거려본 결과 물리적 실체로, 숫자로, 증거로, 명제로 결과를 증명해
보여주는 자연과학적 해석이 바른 길이 아닌가 합니다.
실체가 없는 관념으로 아무리 접근해봐야 허공의 메아리일 뿐, 착각과 환상일 뿐입니다.
빅뱅의 우주와 태양계와 지구와 이 행성의 생명체로 존재하는 인간과 또한 그 인간의 브레인까지
들여다보고 해답을 찾아가는 자연과학은 그래서 종합이고 융합의 정점이 아닌가 합니다.
"그럴 것이다"라는추측의 명제를 넘어 "정답은 있을거야"라는 위대한 접근이 브레인의
기억과 생각과 사회적 뇌까지 비교적 정확한 해답을 내놓고 있습니다.
결론에 도달하는 길은 다양할 수 있지만 가장 빠르고 정확한 길을 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연과학적 사고는 바른 길을 가는 지금길이 틀림없다는 생각입니다.
존재가 무엇인지 아는 길을 가는데 말입니다.
'공진화'에 대한 에세이.
지난 영겁을 통과하여 다음 영원으로 향하는 지극했던 서사의 황홀한 마디인 지금.
지금 살아있는 생명의 자각. 공진화.
봄 맞이 따뜻한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