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음악가가 되는

 

 일본 영화가 한국 시장에서 흥행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가깝고도 나라라는 말처럼 비슷한 부분도 많지만 일본 영화를 때면 뭔가 감동을 주는 포인트가 다르다는 것을 자주 느낀다.

 하지만 포인트를 문화적 벡터가 아니라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 맞추어서 심플하게 그리고 솔직하게 전할 때는 바다를 건너 한국까지 닿을 때도 종종 있다.

 <노다메 칸타빌레>(2011)그렇게 가끔 건너오는 영화 하나이다.

 

 <노다메 칸타빌레>음악을 주제로 사랑과 웃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답게 소재나 캐릭터들이 매우 개성적이다.

 주인공은 노다메라는 이름의 여학생이다. 피아노를 전공하고 남자 주인공인 치아키선배를 매우 좋아한다. 노다메는 대학생이지만 행동은 어린아이 같다. 음악이든 먹는 것이든 치아키 선배든 자신의 욕구에 100% 솔직한 모습은 웃음을 자아낸다.

 반면 치아키는 냉철하고 거의 모든 시간을 음악에 쏟아 붙는 노력파이다. 원래는 노다메와 함께 피아노를 전공했었지만 갈등 끝에 결국 자신이 정말 하고 싶었던 지휘로 전공을 바꾼다. 자신에게 반한 노다메가 끊임 없이 호감을 표현하지만 치아키는 음악에 집중하기 위해 그런 노다메를 끊임 없이 밀어낸다. 하지만 완벽해 보이는 모습 뒤에는 매우 인간 적인 면이 함께 존재한다. 치아키는 고소공포증 때문에 유학을 가지 못하고 있고 자신의 안에서 점점 커져가는 노다메의 존재감 대해 혼란을 겪는다. 치아키에게 어울리지 않은 모습들은 역시 관객에게 웃음을 준다.

 노다메의 어린아이 같이 순수한 열정은 결국 치아키의 마음을 열고 둘은 함께 파리로 향한다. 치아키는 어릴 적부터 꿈을 꾸었던 세계무대에 서기 위해 거기에 있었지만 노다메는 치아키의 곁에 있기 위해서 파리에 것이었다.

 쓰러져 가던 악단의 지휘자가 되어 단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어려운 상황을 노력으로 극복하고 다시 인기를 얻어가는 악단과 함께 성장해가는 치아키의 모습을 보고 노다메는 불안을 느끼게 된다. 자신이 치아키의 옆에 사람으로서 어울리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가지게 것이다. 불안은 원래 자신이 하기로 했던 치아키와의 협연을 루이라는 유명 피아니스트가 대신하게 되면서 현실이 된다. 노다메는 치아키와 협연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성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노다메는 순수한 열정을 피아노 앞에서 다시 보여 준다. 곡을 소화하기 위해서 3밤낮을 피아노 앞에서 보낼 정도로 연습에 몰두한다. 하지만 성장의 과정은 쉽지가 않다.

 노다메에게는 명의 스승이 있다. 명은 프랑스 현지에서 만나서 노다메를 아기라고 부르는 피아노 선생님이고 명은 마에스트로라고 불릴 정도로 유명한 지휘가이다. 피아노 선생님은 노다메를 아기라고 부르며 성장을 계속 촉구한다. 부족한 부분이 보일 때는 부분을 지적해 주시만 노다메의 연주에서 노력과 성장이 느껴지면 칭찬을 하기도 한다. 마에스트로는 선을 긋는다. 마에스트로는 일본 있을 때부터 노다메를 지켜보며 노다메의 성장을 도왔다. 세부적인 디테일을 지적할 때도 있지만 지켜 때가 많다. 마에스트로는 노다메가 느끼는 불안을 꿰뚫어 보고 피아노 선생님과는 다른 방법을 선택한다.

 끊임없는 노력에 노다메의 실력은 성장하고 마에스트로는 노다메에게 협연을 제안한다. 자신의 협연은 치아키와 하게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고민하지만 노다메는 결국 승락한다. 소식을 들은 피아노 선생님은 노다메가 진정한 음악가가 있었는데 무슨 짓을 하고 있는 것이냐며 마에스트로를 향한 분노를 터트린다.

 노다메와 마에스트로의 협연은 성공을 거둔다. 너무나 훌륭해서 세간의 이목을 끌었을 뿐만 아니라 노다메가 자신이 이것 보다 좋은 협연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버렸다. 노다메가 피아니스트로 살아가는 가장 이유 하나는 치아키와 멋진 협연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노다메는 치아키와 협연을 한다고 해도 이것보다 멋진 공연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어버렸다. 그래서 피아니스트로서의 정체성이 심하게 흔들린다.

 노다메는 방황을 한다. 치아키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친구들을 피하며 자신의 길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모습을 알게 피아노 선생님은 노다메가 무슨 일이 있어도 음악과 함께 살아가겠다고 결심한 진정한 음악가있었는데 마에스트로가 망쳐버렸다고 말한다.

 방황하던 아이들에게 피아노를 들려주며 노다메는 즐거움을 느낀다. 어릴 꿈이었던 유치원 선생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치아키가 등장해서 노다메의 손목을 잡고 학교에 있는 피아노 연습실로 이끈다. 연습실에는 대의 피아노가 놓여 있고 치아키는 언젠가 함께 연주했던 모차르트의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연주하자고 제안한다. 노다메는 자신이 예전에 비해서 많이 성장했기에 지휘에 집중한 치아키가 자신과 맞추어 연주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한다. 해보지 않으면 없다는 치아키의 종용에 결국 노다메는 함께 연주해보기로 한다. 매우 개성적인 노다메의 연주 스타일에 맞추는 것은 누구에게도 쉽지 않다. 노다메가 많이 성장한 지금은 어렵다. 하지만 치아키는 무슨 일이 있어도라는 의지로 결국 노다메의 연주에 맞추어 연주해 내고 멋진 곡이 완성된다. 그리고 노다메는 다시 피아니스트로서의 희망을 가진다. 아무리 좋은 연주가 완성되어도 좋은 연주를 위해 노력해가면 되는 것이라며 평생 음악과 함께 각오를 하게 된다. 마에스트로도 이것을 바랬던 것이다.

 

 영화를 보는 것은 오래된 취미이다. 특히 마음이 복잡할 즐겁거나 따뜻한 영화를 한편 보면 기분이 좋아질 때가 많다. 그런데 박자세와 만난 영화 속에서 단순한 느낌 이상의 것을 때가 많아 졌다. 노다메의 피아노 선생님이 무슨 일이 있어도 음악과 함께 살아가겠다는 결심을 것이 진정한 음악가이다라고 했을 나는 박자세를 떠올렸다. 언젠가 박문호 박사님의 강의에서 비슷한 말을 들은 기억이 것이다.

 박자세에서는 많은 방법들이 제시된다. 순서화, 대칭화, 배경화, 그리기, 모듈화, 암기 위주, 교과서 중심 모든 방법의 효과는 아마 확실 것이다. 하지만 따라가기가 결코 만만치 않은 방법들이다. 탑다운식으로 생각해서 방법들을 꿰뚫는 키워드를 선정한다면 결국 무슨 일이 있어도라는 개의 단어로 키워드가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간이라는 현상을 규명하기위해서는 결국 무슨 일이 있어도자연과학과 함께 살아가겠다는 결심이 서야 것이다. 하지만 결심이 결코 하루 아침에 찾아오지는 않을 것이다. ‘무슨 일이 있어도라는 신념 수준의 기억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반복과 감동이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지금은 무슨 일이 있어도라고 말을 있는 단계는 아닌 같다.

 하지만 날이 때를 기대하고 대비하며 많이 배우고 훈련을 나가고 싶다는 생각은 하고 있다. 여러 훈련 가장 중요한 것은 아마도 내가 무슨 일이 있어도 자연과학과 함께 살아가겠다결심이 섰을 결심을 뒷받침 있는 든든한 체력일 것이다. 그래서 10 27박자세 회원들과 함께 지리산에 올라 가고 싶다.

 목표는 대청봉이지만 양운각 대피소나 희운각 대피소에서 돌아갈 수도 있도록 코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일단 목표는 대청봉으로 잡고 있지만 무리는 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가고자 하는 곳은 멀리 있으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