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마라톤에 다시 참여하며 스스로에게 규칙을 정해본다

 

1.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박자세는 다방면에서 전문가들이 많다

그들을 염두에 두고 글을 쓰면 주눅이 든다

나만의 페이스를 가지고 남 눈치 보지 않고 못해도 그냥 해본다

 

그리고

 '각 개인들이 가진 재능은 혼자 지니고 있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

사회와 교환가능 해야 의미가 있다 그것이 곧 글쓰기이다 '

박사님이 여러번 얘기하신 내용이다

우리 회원님들도 앞에 글을 올리신 연청님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각자가 지닌 뛰어난 재능들을 기부해보길 염원해 본다

 

 

2. 약속을 지킨다

 

처음 홈피에 글을 올리게 되면서 박사님과 일주일에 두번 글을 쓰기로 약속을 했다

글솜씨가 없다보니 거의 글소개가 대부분이었다

홈피에 글을 올리는것은 나를 노출하는것이다 

잘나지도 못한 모습을 자꾸 보이기가 민망해서 지난 주는 쉬었다

박사님께서 격려 전화를 해주신다  다시 용기를 내었다

 

불교 禪僧 중에 구정九鼎스님 이야기가 있다

 

아주 옛날, 비단행상으로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청년이 있었다.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그는 아주 효심이 지극했다.
어느 날 비단짐을 짊어지고 강원도 대관령 고개를 넘어가다가

고 갯마루에서 잠시 쉬고 있던 그는 이상한 스님을 한 분 발견했다.
누더기를 입은 노스님은 길 옆 풀섶에 서서 한참이 지나도록 꼼 짝을 않는 것이었다.
청년은 궁금했다.
『왜 저렇게 서 있을까? 소변을 보는 것도 아니구. 거참 이상한 노릇이네.』
한참을 바라보던 청년은 궁금증을 견디지 못해 노스님 곁으로 다가갔다.
『스님! 아까부터 여기서 무얼하고 계십니까?』
눈을 지그시 감고 서 있는 스님은 아무 말이 없었다.
청년은 다시 물었다.
여전히 눈을 감고 서 있는 노스님은 청년이 재차 묻자 얼굴에 자비로운 미소를 띠우며 입을 열었다.
『잠시 중생들에게 공양을 시키고 있는 중이라네.』
「저렇게 꼼짝도 않고 서있기만 한데 중생에게 공양을 시키다니 도무지 알 수가 없는 말이로군.」
청년은 궁금증이 더 커졌다.
『어떤 중생들에게 무슨 공양을 베푸십니까?』
『옷 속에 있는 이와 벼룩에게 피를 먹이고 있네.』
『그런데 왜 그렇게 꼼짝도 않고 서 계십니까?』
『내가 움직이면 이나 벼룩이 피를 빨아 먹는데 불편할 것이 아닌가.』
스님의 말을 들은 청년은 큰 감동을 받았다.
청년은 비단장수를 그만두고 스님을 따라가 제자가 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순간, 청년의 뇌리에는 집에 계신 홀어머니가 떠올랐다.
청년이 잠시 망설이는 동안에 노스님은 발길을 옮겼다.
생각에 잠겼던 청년은 눈앞에 스님이 안보이자 비단 보퉁이를 팽개치고

어느새 산길을 오르고 있는 노스님의 뒤를 따르기 시작했다.


스님은 청년이 다가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뒤도 돌아보지 않고 걸었다.
이윽고 오대산 동대관음암에 도착하자 스님은 청년을 돌아보며 말했다.
『그대는 어인 일로 날 따라왔는고?』
『저는 비단을 팔아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비단장수입니다. 오늘

스님의 인자하신 용모와 자비행을 보고 문득 저도 수도하고 싶은

생각이 일어 이렇게 쫓아왔습니다. 부디 제자로 받아주십시오.』
청년은 간곡히 청했다.
『네가 수도승이 되겠단 말이지. 그렇다면 시키는 대로 무슨 일이든지 다할 수 있겠느냐?』
『예 스님! 무슨 일이든지 시키기만 하십시오. 이 몸 힘닿는 대로 다 할 것입니다.』
청년의 결심이 굳은 것을 확인한 노스님은 그의 출가를 허락했다.


이튿날 아침.
스님은 새로 들어온 행자(비단장수 청년)를 가까이 불렀다.
『오늘 중으로 부엌에 저 큰 가마솥을 옮겨 새로 걸도록 해라.』
청년을 흙을 파다 짚을 섞어 반죽한 후 솥을 새로 걸었다.
한낮이 기울어서야 일이 끝났다.
『스님, 솥 거는 일을 다 마쳤습니다.』
『오냐, 알았다.』
스님은 점검을 하시려는 듯 부엌으로 들어가셨다.
이리 저리 살펴보신 스님은
『걸긴 걸었다만 이 아궁이엔 이 솥이 너무 커서 별로 필요치

않을 것 같으니 저쪽 아궁이로 옮겨 걸도록 해라.』
하고 이르고는 나갔다.
청년은 다음날 한마디 불평도 없이 스님이 시킨 대로 솥을 떼어
옆 아궁이에 다시 걸기 시작했다.
솥을 다 걸고 부뚜막을 곱게 맥질하고 있는데 노스님이 기척도
없이 불쑥 부엌에 나타나셨다.
『인석아, 이걸 솥이라고 걸어 놓은 거야. 한쪽으로 틀어졌으니
다시 걸도록 하여라.』
노스님은 짚고 있던 석장으로 솥을 밀어 내려앉혀 버렸다.
청년이 보기엔 전혀 틀어진 곳이 없었지만 스님의 다시 하라는
분부를 받았으므로 그는 불평 한마디 없이 새로 솥을 걸었다.
그렇게 솥을 옮겨 걸고 허물어 다시 걸기 아홉 번을 반복했다.


드디어 노스님은 청년의 구도심을 인정했다.
그리고는 솥을 아홉 번 고쳐 걸었다는 뜻에서 구정(九鼎)이란 법명을 내렸다.
구정 스님은 뒷날 크게 명성을 떨친 구정선사가 되었고

스님의 수행은 오늘에도 입산 출가자 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 백유경 중에서 -

 

구정스님 이야기를 떠올리며

또 10년 공부 약속도 지키기로 해본다  
 

3. 무조건 한다

 

그나마 학습마라톤의 선수가 아니라  다행이다 ㅋㅋ

지금 박자세 학교에서 매주 강의 듣는 회원이 약100명 정도 되는것 같다

(등록하신 분은 더 많은 것 같다 )

당장 시험을 보면 나는 반에서 거의 뒷쪽일것이다

자연과학 홈피라서 자연과학에 관한 글만 올려야 될것 같았는데

 

예)  리만텐서

{R^\rho}_{\sigma\mu\nu} = \partial_\mu\Gamma^\rho_{\nu\sigma} - \partial_\nu\Gamma^\rho_{\mu\sigma} + \Gamma^\rho_{\mu\lambda}\Gamma^\lambda_{\nu\sigma} - \Gamma^\rho_{\nu\lambda}\Gamma^\lambda_{\mu\sigma}

.....

 

 글쓰기 마라톤을 따로 마련해 주셔서 일상적인 글을 쓸수 있어

그나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

 

후기 

집이 북한산과 가까워서 거의 10년 넘게(지금 12년차) 일주일에 한번은 북한산에 간다 

북한산 구석구석을 다 다녀보았다  그래서 북한산은 거의 우리집 앞마당이다 ㅋㅋ

언제 북한산 이야기를 한 번 올려야겠다

오늘은 집안일이 있어 (천뇌수업도 못감) 산에 못가서  오후7시 ~ 11시까지 둘레길을 갔다 왔다

지금 올린 글은 워킹을 하면서 떠오른 생각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이번주에 발표하게 될 차코캐년에 대한 전체 윤곽도 다시 잡게 되었다

 

어둠속에서  

북한산성입구 계곡에서 바라본 검게 변한 백운대,인수봉의 우람한 모습과

오늘따라 보름달이 영롱하게 산능선 위에 떠 있는 모습은 오늘 산책의 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