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잘 쓰고 싶다” “글에 자신이 없어서 댓글도 잘 못달게 되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는다. 이것은 내 속에도 언제나 떠돌고 있는 말이긴 하다.

정말 글을 잘 쓰는 사람을 만나면 부럽기도 하고 샘도 난다.

또 다른 마음 한켠에선 자신에 대한 실망과 좌절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끈질기게 버려지지 않는 미련은,

‘나도 글을 잘 써보고 싶다’는 것.

욕심이 커갈수록 글쓰기는 점점 더 힘들어진다. 댓글을 쓰는데도

쓰고 고치고 지우기를 반복하다가 결국은 포기해 버리기를 여러번...

자신감은 점점 사라져갔다.

 

박사님의 해법은 “힘을 빼라”였다.

음. 어떻게? 그동안은 어땠길래?

글의 모양새를 살펴보고 나를 들여다 보았다.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이 과했다. 글에 치장을 하고 쓸데없는 무거운 의미부여도 많다.

자연스럽지가 않은 것이다.

작은 모티브가 있으면 작게, 큰 주제가 있으면 그것대로 충실하게 자연스럽게 흘러가면 되는 것인데,

뭔가 의미를 부여해야만 할 것 처럼 용을 쓰고 있었다.

힘이 들어간다는 게 무슨 말인지를 그제서야 깨닫는다.

 

힘을 뺀다는 것은 나부터 편안해지는 것.

내가 초등학생이었을 때, 한참 펜팔이 유행이었다.

어느날 우연히 날아든 편지 한 통에 답장을 쓰게 된 게 나의 글쓰기의 시작이었던 것 같다.

얼굴도 모르는 친구에게 답장을 쓰면서 설레고 떨리던 그 기억을 다시 불러 오는 일.

사춘기에 접어들 무렵 아무도 몰래 간직했던 비밀 일기장을 다시 열어보는 일.

 

이곳을 일기장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누군가에게 보여준다는 부담이 과하지 않다면, 훨씬 편안해 질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일기장에 나만의 얘기를 적어내려갈 때처럼 편안하고 담담하게. 진심을 담아서.

좀 서툴고 어슬프면 또 어떠랴.

글은 잘 쓰고 못 쓰는게 아니라, 진심을 어떻게 담아내고 표현해내는가 인것 같다.

모자란 점도 내보이고, 좀 잘되면 격려도 받고 그러면서 단련되다 보면

어느날인가에는 그럴듯해질지도 모른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쓰나요?

누군가가 얘기했다.

"우선 컴퓨터를 켜고 자판을 치세요“

 

시작이 중요한거다. 시작하지 않으면 그 다음은 아무것도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