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뒤척이는 소리에 잠에서 깼다. 창호지 문이 밝다. 어스름한 방을 지나 토방에 걸터앉았다. 산과 산 사이에 소리 한 점 들어설 자리도 없이 눈이 내린다. 화장실 가는 길도 하얗다. 눈이 내린 하얀 운동장에 발을 디뎌 보려는 마음에 집을 나선다. 한 발 한 발 옮길 때마다 오도독 뽀도독 소리가 솟아난다. 하얀 논 밭 위로 길게 전봇대가 떠 있다. 바람이 전기 줄을 당겨 윙~~~ 소리가 난다. 어깨가 움츠러든다.


탱자나무 담벼락 개구멍을 지나 학교 안으로 들어갔다. 시루떡 같은 눈이 언제 이렇게 찾아 왔을까. 발자국에 눈이 부서질까 조심스레 걷는다. 운동장 가운데쯤에서 뒤를 돌아보았다. 길게 발자국 길이 나 있을 것이다. 언제 쫓아 왔는지 반근이 녀석이 꼬리 잡는다고 빙빙 돌고 있다. 사방이 반근이 발자국이다. 내 발이 두 개고 반근이 발은 네 개니 도저히 이길 수가 없다. 운동장에 내 발자국을 상상하며 길을 나섰는데 이미 판은 엎어진 뒤다. 어찌나 화가 나던지 눈을 뭉쳐 던졌더니 자기랑 놀아주는지 알고 녀석은 이리 뛰고 저리 뛴다. 아무리 눈덩이를 던져도 눈이 좋아서 뛰는 녀석을 맞출 수가 없다. 약이 오를 때로 올라서 잡으려고 뛰어갔다. 반근이는 후다닥 탱자나무 개구멍으로 달아난다.


학교 운동장에 나 혼자 눈을 맞고 있다. 갑자기 눈이 한 쪽으로 후욱 휩쓸리더니 플라타너스가 후르르 떤다. 탱자나무 담벼락이 수우웅 소리를 내고 있다. 멀리 커다란 팽나무는 눈을 멍하니 맞고 있다. 유리창 덜컹거리는 소리에 고개를 급히 돌렸다. 다행스레 아무도 없고 머리만 하얀 학교 지붕이 공중에 떠 있다. 그 아래 학교 건물 검은 유리창이 모조리 나를 바라보고 있다. 하늘을 쳐다보니 내가 하늘로 빨려 들어가는 착각이 든다.

집으로 들어가 보니 반근이는 어미 품속에 들어가 있다. 어미젖이나 먹는 어린 녀석이 새벽 아취를 뭉길 대로 뭉개어 놓고는 천연덕스럽게 나를 쳐다보며 낑낑거린다. ‘야 나쁜 놈아.’ 했다가 부엌이 통째로 울려서 내가 더 놀랬다.


아궁이에 열기가 남아 있는 걸 보니 어머니께서 새벽에 불을 지폈나 보다. 가만히 아궁이를 보니 숯 사이로 작은 불씨가 혀를 날름거린다. 사그라지는 불을 불쏘시기로 뒤적거렸다. 불씨가 비틀거리더니 이내 벌떡 일어선다. 하얀 재가 불길에 밀려 아궁이 옆 멍석으로 만든 개집으로 날아갔다. 반근이 녀석 머리를 몇 번 쓰다듬어 먼지를 털어주었다. 꼬리를 흔들며 좋아한다. 이 때다 싶어 일어나면서 꿀밤을 먹였다. 깽 하는 소리가 괜히 기분이 좋다.


방으로 들어가려다 혹시 썰매를 탈 수 있을까 생각이 든다. 방죽이 있는 강으로 발길을 옮겼다. 강은 언제 흘렀냐는 듯이 하얀 평지가 되어 있다. 돌멩이를 들어 던지니 쩌정 쩌정 소리가 난다. 얼음이 물풀을 물고 있다. 물풀을 헤치고 조심스레 강둑을 내려가 발로 얼음판을 굴러보았다. 깨질 것 같지 않다. 강을 살짝 살짝 걸어서 건너편으로 넘어 갔다. 나뭇가지 하나를 주어서 얼음판을 두들겨 보았다. 찌직 소리가 나더니 얼음판에 금이 간다. 조금 더 얼음이 익어야 될 듯하다.


겉옷을 얇게 입고 나와서인지 너무 춥다. 집에 가야겠다. 언제 그리 눈이 왔는지 방죽 밑 길이 미끄럽다. 뒤뚱거리다 넘어져서 손을 땅에 짚었다. 속으로 이러다 또 손 트면 야단을 맞을 텐데 걱정 하면서 총총걸음으로 집으로 뛰어갔다.


손을 호호 불며 부엌문을 열었다. 반근이 녀석이 제 어미 품속에서 자고 있다가 문 여는 소리에 눈을 게슴츠레 뜬다. 나를 아는 척 하는가 싶더니 어미 품으로 머리를 파고든다. 괜스레 서운하다. 꿀밤을 너무 쌔게 때렸나 생각이 들었다. 머리에 눈을 털고 안방 문을 조심스레 열어 엄마 옆에 눕는다.

 




 

태어날 때 몸무게가 반 근도 안 될 것 같아 반근도 안 되겠네라고 혼잣말을 했다. 그걸 옆에서 엄마가 들으시고는 반근이 이름 좋네.’ 그러셨다. 내 한마디 말로 한 줌이나 될 것 같이 작은 강아지는 평생 반근이로 살았다. 녀석이 낑낑에서 컹컹 소리로 바뀌는 동안 반근이 어미는 쥐약을 넣은 밥을 먹고 죽었다. 몸을 비틀고 개 거품을 물고 죽었다. 너무 화가 나서 옆 집 아저씨에게 따졌다. 쥐약 넣은 밥을 밖에 놓으면 어떻게 하냐고 소리를 질렀다. 개밥 주인은 그러게 개 간수를 잘하지 왜 남의 집 밥을 먹게 놔 두냐고 더 큰소리를 쳤다. 억울했지만 어찌되었든 남의 집에 들어가 밥을 먹은 건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저 씩씩 댈 수밖에 없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반근이와 놀아 줄 시간이 줄어들었다. 초등학교 2학년 겨울 방학이 시작되기 며칠 전에 짝꿍인 용식이 결석을 하였다. 용식은 내가 살던 효자리에서 10Km 정도 떨어진 용반리에 살았다. 매일 보이던 녀석이 안 보이니 걱정되어 길도 모르는 용반리를 찾아 갔다. 길을 걷다가 돌아보니 반근이가 쫓아온다. 돌멩이를 던지며 가라고 소리 쳤다. 가지 않는다. 진짜 가라고 돌을 던진 것이 아니라는 걸 알았나보다. 모르는 길 같이 가주는 반근이가 내심 고마웠다. 경운기가 지나가 패인 논길을 지나 겨우 용반리에 도착했다.


아침부터 모이기 시작한 구름은 점점 짙어지더니 빗방울을 몇 방울 떨어트린다. 매가리 없던 바람이 넓적하게 변하더니 옷자락에 부딪친다. 물어 물어서 용식이 집에 갔을 때는 하늘이 쏴아 소리를 질렀다. 갑자기 쏟아진 비에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게 되었다. 부모님이 걱정하실 것 같아 전화기가 어디 있는지 용식이에게 물어 보았다. 용식네 초가집에는 전화가 없었다. 용식을 따라 동네 이장 댁에 갔더니 전화가 불통이다. 국지성 호우에 전화선이 끊어진 것 같다고 이장님께서 알려 주셨다. 동네를 이어주던 다리가 순식간에 무너지고 전봇대가 넘어졌다고 한다. 집은 내일 데려다 주신다고 하셨다. 이장님 댁에 왔다 갔다 하는 사이 밤이 되었다

  

초가집에 작은 문이 닫히자 호롱불도 놀라 흔들거린다. 그늘 진 어둠은 밝은 소리를 비추고 있다. 바람이 나뭇가지를 흔드는 소리만 방안 가득하다. 예고 없이 불어 닥친 폭풍우에 전기는 끊겨 밤은 어둡고 길었다. 초가집은 낮아서 일어서면 머리가 천장에 닿는다. 볏으로 엮은 지붕이 바람에 사그락 사그락, 초가집 앞 조그만 여닫이문은 덜컹 덜컹 거렸다. 자려고 누웠는데 엄마 얼굴이 떠오른다. 집은 난리가 났겠구나.


 잠이 안와서 바스락 소리 안내려고 노력하며 밖으로 나왔다. 그 순간 눈앞을 번쩍하니 하늘이 갈라지고 쿠구구르르릉 콰광쾅!!! 소리가 났다. 아니나 다를까 반근이가 컹컹 짖는다. 부모가 없는 친구 녀석의 할머니가 쓰러져 학교 못 나온 사정은 하늘 갈라지는 소리에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무뚝뚝한 아버지 얼굴만 내 맘에 가득했다. 내리던 비는 눈으로 바뀌고 있었다. 집 방향을 쳐다보고 있을 때 반근이가 내 곁으로 와 눕는다. 손으로 등을 쓰다듬으니 마음이 편해진다.


다음날 일찍 용반 리 이장님 따라서 집으로 갔다. 아버께서 마당에서 씻고 계셨다. 장독대에 올려 진 세숫대야에서 오르락내리락 세수 하는 아버지 손은 하얗고 컸으며 검은 털이 송송송 나 있었다. 아버지 손에 땀구멍이 저렇게 컸나 생각을 했다. 아버지는 충혈 된 눈으로 나를 보더니 밥 먹자고 하셨다. 분명 밤새 난리가 났다고 이장님이 그랬는데 아무 일이 없다. 야단맞을 줄 알았는데 야단을 안 맞으니 더 겁이 났다. 밥 먹으러 들어가는 아버지의 등을 보니 마음이 무거워진다. 반근이는 내 속도 모르고 꼬리만 흔들며 갸우뚱거린다.


겨울방학이 끝나갈 즈음 집이 분주해졌다. 아버지의 갑작스런 전근으로 면소재지 시골 사택에서 읍내로 이사를 가게 되었다. 처음 집을 장만한 어머니는 들떠 있었다. 이사 가기 며칠 전에 동네 어르신들 모셔다 잔치를 벌였다. 천막을 치고 전을 붙이고 고기를 구웠다. 사람들 모인 곳에 아버지 목소리만 울리고 있었다. 선생님들끼리 배구를 할 때도 우리 아버지 목소리만 들릴 정도로 좋은 목청을 가지고 있다. 시끌벅적한 시간이 지났다. 며칠 후 집 앞에 트럭이 왔고, 동네 사람들이 함께 짐을 옮기니 일은 금새 끝났다. 아버지는 나보고 트럭 앞에 타라고 하신다. 누나와 동생들은 엄마와 함께 군내버스를 타고 갔다.


 새로 이사 간 집은 1층 슬래브 집이다. 방이 큰방, 작은방, 합쳐서 네 개나 있다. 마당에는 감나무와 철쭉이 있는 집이다. 동네가 어떻게 생겼나 돌아보고 집으로 들어 왔다. 저녁이 되었는데 뭔가 허전하다. 아무리 찾아도 반근이가 없다. 엄마에게 물어도 누나도 동생들도 모른단다. 이사 짐 트럭에 누군가 태웠겠지 했다가 아무도 챙기지 않아 반근이만 남겨졌다. 서두르다 놓치고 왔다.

매일 반근이 데리러 가자고 엄마에게 졸랐다. 그랬더니 반근이가 시골 사택에 없다고 하신다. 내가 그럼 어디 갔냐고 물었다. 엄마는 기다려 보라고 말씀하셨다. 동네 사람에게 말해 놨으니 금방 찾을 수 있다고 하셔서 안심이었다.


이사를 하고 두 달쯤 지났을까. 시골 분교 근처에 살던 어른 몇 명이 읍내에 우리 집으로 인사를 오셨다. 어른들 이야기라 자세히는 듣지 못했지만 사고가 있었다는 얘기 같았다. 손님이 가시고 나서 부엌에 그 검은 봉지가 놓여 있다. 무슨 선물을 검은 봉지에 싸서 가져 오나 싶었었다. 하도 궁금하여 들추어 보았다. 신문지에 돌돌 말린 물체가 있었다. 신문지를 조심스레 풀어 제쳤다. 핏물이 묻어 나온다. 돼지고기를 받아 오셨다고 생각했다. 그 날 저녁 고기 국을 먹었다. 밥을 먹고 텔레비전을 보는데 반근이 생각이 났다. 시골 사택 동네 어른들이 와서 그렇다. 엄마에게 물었다.

 

"엄마, 반근이는 왜 안 데리고 왔데요?"

 

엄마는 모른다고 했다. 나는 데려와야 되지 않느냐고 묻는데 설거지해야 한다고 엄마는 대답도 없이 부엌으로 가셨다. 다음 날 엄마와 아빠는 계모임을 다녀오셨다. 나는 밖에서 얼마나 신나게 놀았던지 안방에서 텔레비전을 보다가 잠이 들었다. 한 밤 중 수근 거리는 소리에 잠이 살짝 깼다.

 

뭐달라고 그라고 동네를 싸돌아 다녔당가? “

그랑께 말이요. 놈에 집 밥을 다 쳐 묵고는 미쳐가꼬 난리였다고 안하요. 거기 뭐시기 영민이 아부지는 팔을 물렸다고 그라던디요.”

아따. 그 새끼가 미쳤구만. 영민이 아부지는 괜찮고?”

쌔게는 안 물렸다고 합디다. 그 일 땀시 동네 사람들이 고 놈 잡는다고 고생 했는 갑서라. 암만해도 쥐약 묵은 밥 묵은거 아닌가 시퍼라

근디 탱자나무에는 왜 뛰어 들었당가?”

거기 개구멍 있자네라. 거그를 소사 아자씨가 막아븐거슬 고 놈만 모르고 있었다고 합디다. 지 팔자지 어짜겄소. 하도 흔들어 대싸서 도치로 찌겄다고 하던디요.”

무글라믄 다 묵지 뭐단지 들고 왔당가. 묵긴 묵었어도 기분이 좀 그러자네.”

즈그들도 기분이 캥겨서 그랬겄지라. 그랑께 옛날에 거시기 뭐냐, 반근이 어미가 쥐약 묵고 죽은 놈 집 있자네라. 거기 거시기가 들고 왔습디다. 두 번이나 그라고 나니께 좀 미안했겄지요.“

 

엄마와 아빠가 반근이 이야기를 하고 계셨다. 부모님의 속삭이는 소리가 내 귀에서 점점 커져갔다. 숨죽여 이불을 끌어 당겼다. 뭘 잘못한 것 없는데도 잠에서 깨면 안 될 것 같았다. 나는 그 날 이후로 반근이를 찾지 않았다.

 










 

일요일 아침에 일찍도 일어났다. 어제 10년 근속 축하 회식이 있었다. 과음을 해서 그런지 새벽 겨울바람이 싱싱하다. 건물과 건물 사이, 빌딩과 빌딩 사이에 눈이 내린다. 빌딩 그림자에 뭉개진 눈이 잿빛이다. 제법 일찍 일어났는데도 길은 온갖 발자국이 난무하다. 일요일 새벽에 나가는 사람이 왜 이리 많은지 시골에 살던 사람이 다 서울로 올라왔나 보다. 도시에는 돌멩이 던질 강도 없으니 내 맘에나 돌을 던져 본다. 내리는 눈을 볼 때마다 반근이 녀석이 생각이 난다. 내 뒤를 쫓아 운동장을 따라오던, 내게서 좀처럼 떨어지지 않던 녀석이다. 반근이는 내리는 눈 속에 살고 있나 보다. 오늘은 눈이 참 많이도 내린다. 가물거리던 기억의 언저리를 심히 건든다. 점점 기억이 선명해진다. 왜 눈이 오면 그 기억은 나를 찾아오는 것일까? 왜 그리도 나를 놓아주지 않는 것인가? 먹먹한 하늘을 한 번 보고는 방으로 들어갔다. 어디선가 강아지 한 마리 낑낑거리는 소리가 들리는 듯해서 귀를 막았다가 뭐하는 짓이야하고 손을 내려놓는다. ‘그 시절에는 그런 것이 너무 당연 했어. 정말 어쩔 수 없었어.’를 중얼거린다.


지금의 나와 그 옛날의 내가 부딪치면 늘 아련한 어쩔 수 없음이 달려든다. 어제로부터 불어온 손 될 수 없는 시간을 마주할 때마다 고개를 돌리는 나를 발견한다. 눈 내린 아침이면 마음이 무거워 진다. 오늘도 뾰족해진 겨울바람이 마음에 그렇게 분다. 어디쯤에서 그 바람은 그칠는지, 거기에서는 고개 돌리지 말자. 나를 찾아 온 기억 버리지 말자 한다. 창문이 덜컹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