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동주>를 보러 갔다. 영화는 시 한 편에 부끄러움 하나씩을 엮었다. 흑백화면을 동주의 부끄러움이 붉게 물들였다. 나의 부끄러움은 무엇인가? 영화를 보고 난 후 질문 하나가 남았다. 

‘우리가 마시는 산소 대부분이 암석에서 나온다는 걸 모르고……’
얼마 전, 박자세 홈페이지에 올렸던 댓글이다. 잘못 썼다는 지적을 받고 바로 내렸다. 수정해서 쓸 수도 있었지만 문장 자체를 지웠다. 

게시판의 흔적은 사라졌지만, 머릿속까지 비워진 건 아니었다. 창피함 때문에 몸이 달아올랐다. 잘 알지도 못하는 걸 왜 썼을까, 성급했던 것을 후회했고, 지금까지 왜 알지 못했을까, 무지했던 지난날을 후회했다. 실체 없는 손가락질과 비웃음이 며칠을 따라다녔다. 


박자세에 들어온 뒤로 매일 나의 무식함을 깨닫는다. 아는 것이 별로 없는데, 그 조금 아는 것도 제대로 된 게 없다. 꽤 많이 집어넣었다고 생각했는데 뚜껑을 열어보면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은 것처럼 텅 비어 있다.

어제는 최재천 교수와 이규태 칼럼을 몰라 박사님의 놀란 얼굴을 마주해야 했다. 내가 또 뭘 놓치고 살았나. 집에 돌아와 최재천 교수의 강의 동영상을 봤다. 도입부를 조금 들으니 예전 기억이 떠올랐다. 몇 년 전, 탐욕스럽게 교양 강의를 찾아서 봤는데 그때 본 영상 중 하나였다. 

이규태 칼럼도 마찬가지다. 대학교 때 ‘사설과 칼럼’이라는 강의를 들으면서 분명히 읽었을 텐데 까맣게 잊고 있었다. ‘사설과 칼럼’은 글 잘 쓰는 선배가 부러워 따라 들었던 수업이었다. 어떤 내용의 칼럼을 읽었는지는 기억에 없고, 매주 있는 글쓰기 과제 압박에 수강 신청을 한 내 손을 원망했던 것만 생각난다. 


필독 도서 목록을 따라 샀으나 읽지 않은 책들로 가득 찬 책장.
맥락 없이 모으기만 하다 그만둔 자료 스크랩.
스펙에 도움이 된다는 카더라 통신에 휘둘려 했던 자질구레한 공부 이것저것.

실 없는 구슬들이 집 안 여기저기에, 머릿속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독에 밑이 빠진 이유가 있다. 
진짜 부끄러워해야 할 건 따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