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평생을 엿보기를 하며 사는 것 같아~"


친구 녀석이 밥을 먹다 말고 뜬금없이 한 말이다. 앞 뒤가 없이 툭 던지는 말에 나도 모르게 그게 뭔 말이냐고 묻는다. 


" 일하느라 업체 사람을 보고 왔는데 자꾸 그 사람이 하는 말보다 나한테 원하는게 뭔지 내가 들여다보고 있더라구."


그 녀석은 가끔 이렇다. 궁금증을 유발하고 상대 반응을 살핀다. 주목받고 싶고, 관심받기를 원한다. 


친구는 중학교 들어가면서 부터 우울증을 앓고 있다. 집안의 부도로 동생까지 입양을 보낼 정도의 환경이 자기를 우울증에 빠지게 된 원인이라고 말한다. 우울증 진단을 받은 후 20년 이상을 자기 자신에게 일어나는 변화를   살피는게 일상이 되었다. 책을 읽어도 영화를 봐도 사람을 만나도 자신의 변화보다 더 중요한게 없었기 때문이다. 친구는 한 밤 중에 일어나 뒤척이기가 일수다.  친구는 정신과 상담부터 미술 심리, 인지 심리 등의 치료로 학창시절을 보냈다. 그래서인지 자신의 감정 변화에 이야기를 매우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친구의 "엿보기" 지론은 이렇다. 사람과 사람을 만나던 풍경을 접하던 사건이나 상황이 일어나던 정면보기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이야기를 들으면 그 뒤 이야기가 무엇인지 살피는게 자신에게 이롭다는 거다.     이야기 내용보다 그 말 뒤에 의도가 무엇인지를 보는게 자신이 어떤 행동을 선택하는데 실수를 줄인다고 말한다. 


 풍경을 볼 때도 조금 독특하다. 해질 무렵 산을 보고는


" 우리는 빛을 보는게 아니라 차이를 보는 것 같아. 해질 때 산과  하늘이 어두운정도가  다르잖아. 면적이 아니라 어둠이 만든 산과 하늘이 만나는 선이 구분을 만들어. 그래서 산과 하늘을 아는거야. 그저 선인데 산이랑 하늘이라고 그냥 말로 정한거지. 나도 계속 그렇게 살고 있어. 자꾸 내가 어디있는지 경계 짓지 않으면, 남과 내가 다른게 뭔지 찾지 않으면 내가 어디 있는지 잊을까봐 두려워."


풍경 하나도 자신의 변화와 연관짓고, 풍경 너머의 변화에서 자기가 뭘 보고 있는지 찾아낸다. 뇌과학에서 말하는 시각 메카니즘에 근접하게 말하는 친구에 관찰은 나를 놀라게 한다. 


그러더니 최근에는 얼굴이 급 밝아져서는 


" 난 평생 우울이 내 생각이 잘 못되서 그런지 알았는데 아닌것 같아. 약 바꿨는데 너무 기분이 좋아. 문제는 마음이 평안하니까 이상하게 불안하기도 한다만. 아마 사람은 그냥 자기 몸을 쳐다보기만 가능한지도 몰라. 몸이 허락하니까 내 기분도 만들어지는거 아닐까 해."


친구의 관찰의 해석은 내장계, 자율신경계 등을 자아로 두는 에델만의 자아 이론과 비슷하다. 어떤 이론 없이     개인적 경험에 기댄 해석이 어디까지 가능할까를 생각하게 했다. 


평생을 엿보기를 하고 있다는 친구의 지론은 "척과 티"에서 더 단단해진다. 


" 사람은 엿보기를 하고 살기 때문에 척과 티를 내는 것 같아. 어떤 행동을 하는 척하는것은 남이 나를 보고 있을까봐 하는 행동이고, 어떤 행동의 티를 내는 것은 내가 하고 있는 것의 의도를 봐주기를 바라는 마음인거지. 그래서 사람은 어쩌면 평생 정면보기가 불가능해. 서로 척하고 티내면서 사니까."


나도 그랬다. 친구의 말을 들으면서 이 녀석이 무슨 의도로 하는 거지라고 생각했다. 인간은 목적없는 행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내 본 모습을 보여주고 싶고 그게 아름다운거야 라고 하고 있지만 이미 나는 내 모습을 만들고 있지 않던가.


텔레비젼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누군가 그랬다. 


" 여유 있는 척하는 것과 정말 여유있는 건 다르다는 걸 보는 사람은 알아요."


주목하고 싶은 말은 사람은 척과 티를 구분하는데 에너지를 쓴다는데 있다. 우리는 미리 생각한다. 미리 이런 

일이 일어날꺼야를 예상하고 다음 행동을 선택한다. 그래서 만들어 진게 척과 티가 아닐까 싶다. 


인간은 엿보기를 하고 산다. 갓난 아이의 엄마는 아이의 울음 속에서 그 뒤에 숨겨진 배고픔, 졸림, 대소변 누고 난 뒤의 찝찝함, 등을 찾아낸다. 텔레비젼에서 근엄하게 이야기하는 정치인의 말보다 그가 했던 정책과 행동,  

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말 자체의 이야기보다 말투, 억양, 행동거지, 자세에서 말의 진실을 찾는다. 


중국의 황제가 자치통감을 읽는 이유를 황제의 품위와 격식을 위해서라 이야기 한다. 격은 어떤 장소, 시간, 때에 어떤 행동의 순서를 할 것인가의 식에서 나온다. 식에서 격이 나오고, 그렇게 만들어진 격이 쌓여 품격을 만든다. 척과 티라는 행동을 어쩌면 인간은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적절한 행동으로 바꾸었다. 


사람도 물건과 같다.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있는 그대로를 보이는 건 쉽지 않다. 일종의 포장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척과 티를 내야 하는지도 모른다. 그것이 예절이든 매너든 꾸밀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