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살던 동네에 작은 책 대여점이 있었다. (요즘도 이런 곳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책장으로 만든 통로가 있다. 책장에는 주로 소설책이 꽂혀있다. 공간을 가로지르는 책장 때문에 이 구역에는 햇빛이 잘 들지 않는다. 낮에도 약간 어둡다. 옅게 깔린 그림자 속에 있는 책들은 하나같이 손때가 잔뜩 묻었다. 책표지를 싼 비닐도 온전하지 않다. 책장이 떨어져 나가 반 이상이 스템플러를 박았다. 고문서 같은 책장을 넘기면 책이 몸을 닳아가며 만난 시간 그리고 사람들과 이어지는 기분이 든다. 

  내 작은 걸음으로 다섯 발 걸어가면 주인아주머니의 책상에 닿는다. 책상을 지나 몸을 돌리면 만화책이 진열된 책장 통로가 나온다. 반대편과 달리 이곳은 정면에 난 큰 창으로 들어오는 빛 때문에 환하다. 책 한 권을 꺼내 그 자리에서 읽을 수 있다. 그때 서서 읽은 만화책을 다 세면 큰 책장 세 개는 될 것이다. 

  그 책방에 가면 읽지도 않은 책들이 전부 내 것 같았다. 참 열심히 갔다. 사실, 순수하게 책이 좋아서 간 것만은 아니었다. 

  당시 책 대여료는 소설책이 600원, 만화책이 300원이었다. 어린 나는 매일 아침 아버지께 손을 벌렸다. ‘책’을 읽고 싶다는 자식에게 아버지의 지갑은 언제나 쉽게 열렸다. 가장 작은 액수가 천 원이었고, 만 원짜리 지폐가 나온 적도 있었다. 어머니였으면 어림없이 동전으로 600원이었을 것이다. 영악했던 어린아이는 그걸 잘 알았다. 

  학교가 끝나면 아침에 받은 천 원을 꼭 쥐고 책방으로 달려갔다. 주인아주머니께 추천받은 소설책 한 권을 빌리면 손에 400원이 남았다. 그것으로 책방 옆에 붙어 있는 구멍가게에서 100원짜리 불량식품을 샀다. 한 손에 책, 다른 한 손에 불량식품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에 산들바람이 실렸다. 방바닥에 배를 깔고 누워 달콤한 과자를 녹여 먹으면서 빌려온 책을 읽었다. 

  계기야 어찌 됐든 그때 가장 많은 책을 본 것 같다. 중학교에 입학한 뒤로 점점 책방 가는 날이 줄어들었다. 손에 책보다 교과서가 들려있는 시간이 늘어났다. 책방은 문을 닫았다. 마지막으로 추천받았던 책이 안도현의 『연어』였다. ‘다음번에 와서 빌릴게요.’라고 말했는데, 아직 빌리지 못했다.

  가끔, 아버지께 아침마다 천 원짜리 지폐 한 장을 받던 그때가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