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의 위대한 영혼.jpg

  박수용 저자는 개성 있다. 서울대 영문과를 나와서 1991년 EBS에 입사해 20년 동안 자연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현장에서 밤을 새고 고생을 하면서 오로지 찍는 스타일이다. 그의 강의를 들었는데 자연다큐멘터리에도 연출이 많다고 한다.

 

“산에 울타리를 치고 동물원 호랑이를 풀어놓고 다큐를 찍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적은 제작비로도 금방 엄청난 양을 찍을 수 있죠.”

 

‘시베리아의 위대한 영혼’은 호랑이다. 야생 호랑이다. 만주와 우수리 강 일대를 다니는데 시베리아 호랑이, 백두산 호랑이, 만주 호랑이로 불리지만 같은 종류라고 한다. 호랑이에게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 요즘 중국에서는 동북호랑이로 부른다. 한대 지방에서 사는 유일한 호랑이다. 그들은 추운 지방에서 살아서 털이 길고 몸집이 크다.

 

박수용 저자가 시베리아 호랑이를 촬영하기 전에 야생 상태에서 찍은 필름이 1시간 정도 밖에 없었다고 한다. 10,000 마리를 넘던 호랑이가 불과 백 여 년 사이에 고작 400마리 정도로 줄어들었으니 그들이 인간을 경계하고 조심하는 행동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인간은 호랑이를 만나지를 못한다. 그러니 무슨 재주로 야생 호랑이를 필름에 담겠는가?

 

박 피디는 그래서 비상한 수단을 쓴다. 겨울에 호랑이가 다닐만한 길목에 비트를 파서 그 2평 공간에서 3달에서 6달을 버티는 방법이다. 인간으로서 하기 힘든 극한의 노력이다. 고요한 비트 안에서 잠복하면 바람 소리가 전혀 다르게 들린다고 한다. 웬만한 사람은 1주일을 버티지 못하고 뛰쳐나간다. 그런 비트에서 3달을 기다려도 호랑이가 나타나지 않으면 절망한다. 그러면서 카메라를 붙들고 오늘은! 하면서 다시 마음을 다 잡는다.

 

호랑이가 비트에 숨은 그를 의심하고 공격하는 장면은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이게 정말 사실일까 싶을 정도다. 그는 어미 호랑이와 새끼 호랑이 3마리에게 며칠 동안 공격당하며 비트를 가린 송판이 부셔지기도 하며 생사의 기로를 넘나든다.

 

박 피디가 산타고 강 오솔길을 오르다 왕대 호랑이를 만나는 장면은 압권이다. 그 지역을 장악한 수컷 호랑이를 왕대라고 부른다. 이마에 왕(王)자, 등에 대(大)자가 뚜렷하게 새겨진 호랑이다. 호랑이는 그를 뚫어지게 쳐다보며 천천히 무심하게 걸음을 옮긴다. 그때 박 피디는 호랑이의 말을 들었다고 한다. “움직이지 마라. 그대로 있어라.” 왕대가 오솔길로 사라지자 박 피디는 초라함을 느낀다. 자연의 힘에 눌린 느낌이다.

 

박 피디는 올해 2월에 다시 시베리아 우수리강 지역으로 들어간다. 늘 제작비가 없어서 고생했는데 이번에는 미국 공영방송에서 지원한다. 아내에게 “호랑이 새끼만 챙기지 말고 자기 새끼도 챙겨라”는 타박을 듣지만 열두 달 중 10달은 산에서 지내는 생활은 변하지 않는다.

 

책은 문장이 유려하고 뛰어나다. 감탄스럽다. 신화와 자연과 동물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우리의 토템이었던 백두산 호랑이가 눈앞에 선하다. 현장을 겪은 사람만이 쓰는 훌륭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