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의 산문집 여행할 권리 중에 '봉쇄선 백오십리 너머에서는 익살스럽고 구슬픈'이라는 챕터가 있다. 챕터의 이야기는 20062월 중국 화뻬이셩 후쟈좡 마을에서 만난 스룽 노인의 이야기다. 주 내용은 194212월에 후자좡 마을에 있었던 사건이다.

 

스룽이라는 노인이 나이 열한 살 때 일이다. 그가 살던 후자좡 마을에서 선전활동을 나온 조선 의용군 스물아홉 명이 일본군과 대치한다. 독립운동을 하는 부대와 테러 집단으로 보는 일본군이 만나는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그는 여전히 그 날의 일을 소상히 기억하고 있다. 조선의용군이 어떤 숙소에 어떻게 빠져 나왔는지, 일본군이 어느 기슭에 있었는지 팔로군 지원부대가 어느 쪽에서 접근했는지 하나하나 빠짐없이 이야기 한다.

 

스룽 노인은 김연수를 비롯한 다큐멘터리 제작진을 조선의용군이 희생된 뒷동산에 데리고 갔다. 그리곤 1942년의 사건을 세세하게 말을 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갑자기 이야기 하던 노인은 격앙된 목소리로 소리를 지른다. 어리둥절해 하는 제작진은 아랑곳없이 격정적인 목소리로 일본군의 잔악성을 말한다.

 

내가 집중한 이야기는 일본군의 잔학성을 이야기하는 노인의 감정이 아니다. 김연수의 글에는 이렇게 표현한다.

 

' 어느 순간 느닷없이 스룽 노인이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 한 줄기 눈물이 주르르'라는 것과는 아주 거리가 먼, 소매를 두 눈에 비벼가면서 엉엉엉 울어대는, 그런 울음이었다. '

 

조선의용군이 포위망을 도망치고 난 뒤 마을로 일본군이 돌아왔다. 일본군은 스룽의 할머니를 발길질 한다. 이 이야기를 하며 스룽은 목 놓아 소리를 질렀다. 열한 살 소년처럼, 바로 그 날처럼, 소매로 두 눈을 비벼가면서 엉엉엉 울었다. 눈 앞에 할머니가 발길질을 당하고 있고 아무것도 못하는 어린 소년으로 돌아간 듯이 그렇게 울고 있다.

 

내가 집중한 장면은 여기 지금 스룽 노인이 열한 살 아이가 되어 우는 장면이다. 열한 살이 될 수 있음을 나는 믿는다. 우리는 우리네 삶 안에서 앞으로만 나아간다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내 의지에 따라 어디든 갈 수가 있다. 스룽 노인은 어느 누구의 열한 살 때로 더 자주 기억을 더듬어야 했다.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덜덜 떨었던 기억이, 거기 그대로 남겨진 눈물 자욱이, 그 곳으로 노인을 데리고 갔다.

 

그 장소, 그 사람, 그 사건, 그 냄새...... .

 

이 모두가 할머니가 일본군에게 맞고 있던 모습을 보았던 그 날로 스룽 노인을 데려간다. 내게 첫 키스, 첫 사랑, 군대 가던 날, 내 할아버지 눈 감으시던 날이 마치 어제처럼 선명한 이유와 같다. 내 기억이 지금 여기 있다.

 

왜 내게는 몇 일전보다 저 푸른 기억의 그날이 더 선명한 것일까?

 

모든 사건이 내게 기억되지 않으면 없다. 모든 현실 세계는 내가 기억하는 것 안에서만 존재한다. 내게 존재하는 세계는 그 기억에 의해 다른 사람의 세계와 구별된다. 내가 나로서 그 아름다울 수 있음은 타인과 기억이 다르기 때문이다. 나는 혹은 너는 모두, 세상을 기억 하는 사람이다. 동시에 추억하는 사람이다. 이것은 노인의 열한 살의 눈물과 같다. 어느 누군가와도 다른 그 세계가 그 노인에게 있다. 여기에 빛나는 아름다움이 있다.

 

시간과 시간 사이에 시간을 되돌리는 시간이 존재한다. 일을 하다 잠깐 쉬는 시간에 그러하고, 길을 걷다 우연히 스친 향기에 그러하고, 멍하니 하늘을 보다 떨어지는 별똥별을 볼 때 그러하다.

 

선명한 기억으로 시간이 내게 넘치기를 바란다. 의미 짓고 표현하는 시간보다 쌓이고 채워지는 지식을 더 갈망 한다. 왜 그럴까 하는 질문을 할 때 더 많은 세상이 내게 쌓인다.

 

스룽 노인의 눈물은 지금 흐르는 상념이다. 이미 눈물이 지금이지 않는가. 그러하기에 더 귀중하다. 모든 기억은 지금 일어난 신경세포의 현상이라면 우리는 언제나 지금에 머문다.

 

지금 이 순간에 모든 시간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