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이론에서는 시간이 거꾸로 흐를 수도 있다고 하지만

평범한 일상인의 관점으로 볼 때 시간의 속성은 물론 시간의 누적조차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운전할 때 듣는 몇몇 강의가 있는데 박사님 강의 중 화이트 보드를 볼 필요가 없는 외부 강좌나

몇몇 철학 강좌 - 내용 그 자체보다 시대적 맥락에 따라 그들의 아이디어를 어떻게 전개시켜나가느냐 하는 것은 흥미롭다 - 가 있다. 어제는 베르그송이 말하는 시간에 대한 관념, 혹은 시간의 지속, 공간과 분리된 시간 등의 개념의 설명을 들었다. 베르그송은 철학자로서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반박 논문을 쓴 바 있지만 이후 본인 스스로 그 책을 자신의 전집에서 뺐다는 것을 생각하면 철학자가 과학자의 이론을 상대하기가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 아인쉬타인이라는 인물이 예술적 감각과 시적 상상력이 풍부한 상대였음은 (노벨문학상을 탄 철학자인) 베르그송도 뒤늦게 깨달았을 지 모른다, 순전한 내 추측이지만.

 

 최근 친구들과의 대화를 가만히 듣게 되었는 바, 이를테면 신학에서부터 인식론까지 또는 과학의 영역 문제 등 굳이 내가 끼어들 필요도 능력도 없어서 끝까지 조용히 들은 적이 있다. 그러나 대화 중 딱 하나 끼어들고 싶은 것은 바로 시간의 문제였다.  15년 전 쯤인가 한 프로그램에서 본 앵무조개(?)의 사냥 장면은 매우 인상깊었다. 앵무조개는 먹잇감에 조그맣고 하얀 화살을 발사하는데 그 모양이 화살촉과 완전히 닮아 있었다. 독을 묻힌 아주 조그만 그 화살은 먹이의 몸에서 빠지지 않도록 화살촉 모양으로 생긴 것. 일견 조물주가 아니면 그런 지적 설계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착각을 하게 하는데 이 후 곰곰이 생각하면서 장구한 진화의 시간은 우리의 인식 능력 너머에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를테면 뇌과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나 혹은 아트만 등 유아론에 근거한 인도철학에서부터 과도하게 밀어붙이는 관념론 등은 '인간존재라는 존엄성'에 바탕을 둔다(내 생각이다)는 점에서 이해는 된다. 하지만 과학의 영역이 인간적 정서가 메마른 기계적 벌판이라는 것은 오해가 크다는 생각을 해본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뇌과학 강의를 들으며 진화를 생각하면 오히려 소름끼치는 인간의 존엄성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허무의 다른 모습이 아니다.

 

20130101_151657.jpg

 

박자세 베스트 북 [내 안의 물고기]를 주문하면서 딸아이와 외할머니의 사진을 찾아보았다.

어쩌면 아름다움 그 이상이 거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