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바늘 끝으로 모래사장의 모래를 한 알씩 파내서 우물을 만드는 일”

     이라고 어느 외국 작가가 이야기 했답니다.

 

 

     또 어느 노벨상 수상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글을 쓰려 방안에 들어가, 전화선도 뽑고, 조용히 앉아 한나절을 꼬박 글쓰기에만 몰입해도,

     어떤 날은 노트 반 장을 쓰지 못한다.”

 

 

     우리가 잘 아는 조정래 작가는,

     “글을 쓴다는 것은 피를 말리고 온몸을 쥐어짜는 듯 한 고통의 연속이다.”

 

 

     박완서 작가도,

     “소설 쓴 지 삼십 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힘들다.” 라고 호소했다더군요.

 

 

     글쓰기는 이렇게 극한으로 몰고 가는 작업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과연 글쓰기는 단지 괴롭고 힘들기만 한 작업일까요?

     책을 읽다가 공감이 가는 문구를 찾았습니다.

 

 

     그런데 글쓰기의 괴로움이 단지 괴로움으로만 끝이 날까? 창조의 즐거움이란 없는 것일까?

     한 편의 시가 명예와 부로 곧바로 치환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을 공부한 자에게는 새로운

     세상에서 사는 즐거움이 보상으로 따라온다.

     한 편의 시에는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생각해보지도 못하고, 꿈꾸지도 못했던, 새로운

     세상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분명히 있다. 한 편의 감동적인 시를 읽었을 때 그 설렘으로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할 때도 있다. 마음에 드는 한 편의 시를 썼을 때 땅을 박차고 솟구치는 자아의

     충만감을 느낄 수도 있다.

 

                              - 안도현, 『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써라』 중에서 -

 

 

     아, 저도 만족할 만한 글을 쓸 날이 오길 손꼽아, 아니 노트북 자판을 열심히 두드리며 기다려야겠습니다.

 

 

     삶은 순간의 연속입니다.

     평범한 삶의 조각들이 작가의 손을 빌려 감동적인 글로 변화됩니다.

     여기서 작가란 우리 모두를 말합니다. 글을 쓰고 있는 모두가 작가가 될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떻게,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각 조각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삶의 흔적은 다 남게 되어있습니다. 그 흔적을 글로 남기면 어떨까요.

 

 

     왜냐하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우리 인생이 얼마나 짧은지를 명심하는 겁니다. 그 인식이야말로 당신의

      인생을 창의적이고, 열정적으로 만들어줄 겁니다.”

 

 

      알랭 드 보통의 말로 그 이유를 대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