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종종

말씀중에 명사가 바로 떠오르지 않아 "으응~ 거, 거 있잖아"를 연발하시는 어머니.

궁리끝에

2주전쯤인가 아침밥상에서 어머니에게 제안을 한가지 했다. 시를 외우자고.

 

그래놓곤 이삼일이 지났다. 

퇴근을 하고 어머니 침대에 걸터 앉은 나한테 불쑥 얇은 책자를 안기신다. 반야심경.

외웠다는 거겠지?  해보라고 했다. 

우와, 한자도 틀리지 않고 매끄럽게 외우신다.

난 요즘 거의 까먹었는데. .

 

대단하다고 칭찬을 마구 해주고 바로 그 자리에서

'박자세 베스트북'이 아닌 '박자세 베스트 시'중에서

김영태 시인의 '과꽃'을 싸인펜으로 크게 크게 써드렸다.

그리고 시는 이렇게 읽는 거라고 감정을 넣어 약간 오버하며 낭독을 해보였다.

재밌어 하신다.

 

비교적 짧고 낱말이 쉬운 시부터 시작해 차츰 난이도를 높여 '박자세 베스트시'를 모두 외우고 감상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내 목표다. 기억력 증강, 단어학습을 통한 지식의 확장과 정서함양, 모녀간 친목도모등 다각적인 효과를 노릴 수 있다. 그걸 76세 할머니가 할 수 있냐고? 울 어머닌, 한다면 하는 사람이다. 그게 뭐가 됐든. 부지런하고 심지 굳은 울어머니, 중단하거나 해이해지는게 원래 없는 사람이다. 나랑 다르다. 이 프로젝트가 중단된다면 그건 필시 게으른 나 때문이 될 걸 나는 안다.

 

며칠 후 당연히 '과꽃'을 외우신 어머니, 퇴근한 나를 붙잡는다.

" 가~꽃, 가꽃이 무슨 기억처럼 피어있네~"

"아니, 피어있지"

" 피어이찌."

"기억가치 세상에'

"아니, 누구나 기억처럼"

"아, 그래. 누구나 기억처럼 세상에 왔다가 가네~"

"아니, 왔다가 가지"

반야심경 외우는 것보다 조금은 더 어려운가 보다. ㅋㅋ

 

그래도 울엄니 신났다. 아마도 시를 읽고 외우는 것은 한번도 해본적 없는 일이실 거다.

하지만 내가 시범까지 보였는데, 난 어머니가 시를 그렇게 초등1년생이 교과서 읽듯 할 거란 예상은 못했었다.

사실 좀 당황했다. 아니 이건 신데, 시라고요 어머니!

 

엊그제

어깨 인공관절 수술을 위해 어머니께서 입원을 하셨다.

다음날 아침.  9시 첫수술이다.

서둘러 수술준비를 하고 나니 한시간 정도가 남는다.

 

"엄마, 과꽃 외워 봐"

웃으신다.

"가~꽃, 가~꽃이 무슨"

"아니, 과~꽃, 김 영 태 하고"

"응. 가~꽃, 가꽃이 무슨 기억처럼 피어있네~"

"아니, 피어있지"

"피어이찌, 피어이찌. 아이고 이 이찌가 안 돼"

둘이 소리내어 웃는다.

요런 분위기에서만 느낄 수 있는 그런 웃음이 있다.

옆 침대에서 지켜보던 사람들도 결코 모를.

 

쫌 문제라면 어머니가 여전히 60년대 국민학교 1학년생 국어 교과서 읽기를 하고 있다는 것인데

마치 콩가루 속에서 떡이 아닌 차돌이 돌아다니고 있는 것 같다. 

그래도 난 희망을 잃지 않는다. 왜냐고?

암기가 먼저지, 이해가 먼저는 결코 아니라는 건 박자세 회원이면 누구나 아는 사실 아닌가 ㅎㅎ

 

언젠간 분명 울엄니가

촉촉히 젖은 눈을 가늘게 뜨고, 고개는 한 15도 든채

황동규의 풍장이나 문태준의 가재미를

80평생이 녹아든 그녀만의 정서로 그윽히 낭송을 하게 될 것이다.

 

참으로 괜찮은 그림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