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감으면 사라지고

눈을 뜨면 보인다.


포톤 알갱이 하나가

들어와도 뇌는

감지한다.


TV 화면  한 화소에 초당 10의 6승개의 포톤이 필요하다.

인간의 시각은 초당 10의15승개의 포톤 알갱이가

작용한다.


인간의 시각은

이러한 분자레벨에 맞추어

진화되어왔다.



본다는 것은


최소 1초에 5000억개의 흥분이

점멸하여 자연의 형태를

보는 것이다.


-4강 강의중-






 눈 깜빡임

잠시 감는 시간을 다 더하면

하루에 90분이란다.


지금 이 순간에도

꿈뻑이는 눈꺼플---


이 당연한 현상을 놀라움으로

공부하는 이 시간이 행복하다.


4강 강의중에

언급된

분자 레벨 감각의 최전방에 있는

독특한 3가지 세포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CELL1

Von Economo cell


1.jpg



Von Economo cell 명칭은

오스트리아 정신 신경과 의사 이름에서 유래한다.


2.jpg


콘스탄틴 폰 에코노모는

오스트리아 정신 신경과 의사로서 기면성 뇌염과

대뇌 세포구조에 연구를 했다.



폰 에코노모세포는 

인간,침팬지,고래 ,코끼리에서 발견된다.


4.jpg


Acc와 insula에서 발견된단다.


6.jpg



공감은

 나와 같다고 느끼는 감정이자

타자를 향한 통로.

포유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진화의 유산으로,

영장류의 공감 능력은 여타 포유류들을 압도할 만큼 뛰어나다고 한다.

다수(동네 주민 수준을 넘어서는)가 협력할 수 있는

유일한 종인 인간은 그중 가장 크고 깊은 공감 능력을 가졌다.


유발 하라리의 말을 빌리면

중요한 일이라곤 하나도 하지 않던 하찮은 존재

인류를 지구상 최고의 포식자로 출세시킨 재능이다.

 

 

이 특별한 재능과 생물학적 관련이 있는 것이 VEN(Von Economo Neurons)이라는 긴 방추형 세포다.

정유정 소설가

[동아 시론/정유정]당신의 공감 능력은 안녕하신가요






5.jpg


인간은

지독하게

사회적 동물이다.


-4강 강의중-




.


CELL 2

purkinje cell


 조롱박세포, 푸르킨예세포, 푸르키니에세포(~).

소뇌피질의 중층()에 있는 분지된 큰 신경세포이다


3.jpg

푸르키니에(1787~1869년)




푸르키니에는 체코의 위대한 조직학자이며 생리학자로, 근대 생리학의 개척자였다.

그는 세포 속의 액체 성분을 의미하는 '원형질(protoplasm)'과 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plasma)'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1837년에 소뇌의 겉질에서 많은 가지들이 뻗어있는

큰 신경세포인 조롱박세포(푸르키니에세포)4)를 발견하고 세포체와 가지돌기(수상돌기)를 도해하였다.






Untitled-3-1.jpg Untitled-6-1.jpg



---------------------------------


모든 감각에는 네가지 공통특징이 있다


1.개별 감각은 각각의 형식인 고유한 에너지 양식이 존재한다

2.모든 감각은 감각 입력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신체 영역이 있다

3감각은 수용기의 밀도 변화에 따라 강도 변화가 있다

4.모든 감각은 지속 기간이 있다.

-뇌과학 공부 p71-

----------------------------------------


Untitled-7-1.jpg Untitled-8-1.jpg



CELL 3

Betz cell


8.jpg


primary motor cortex 5(V)layer 에 있음.

 

- layer Betz cells 라고함.

 

- 이러한 neuron 들의 cell body은 뇌에서 가장 큰 종류에 속하며,


20191015_083659.png


그 직경이 100um 에 달함.

betz-cell-neuron-nerve-cell-infographics-vector-26718082.jpg


c-oncept-of-upper-and-lower-motor-neuron-7-638.jpg



precentral_gyrus.jpg



감각은 MAP이있다

MAP이 모인것이(중첩) 이미지다.


이미지가

시간상으로 흐르면

생각이 된다.


이 생각은 아직

언어화된 이미지는 아니다.

시각적 이미지다.


이미지가

전전두엽으로 와서 상징으로

번역된다




시각적 이미지의

언어화

실패가

자폐다.


동물은  시각적으로 사고한다


-4강 강의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