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토론회의 자리에서 종과 종 사이 중간종 화석이 없다는 것에

대한 사례를 생각하다가 산호공부한 기억이 나서  

박자세 제43차 리딩공부 2019.3.10 노트를 들추어 보았습니다.

강의내용이 매우 구체적이어서 새삼스럽게 감동을 느꼈습니다.


요약해 보면

산호는 동물의 생리구조(입, 항문, 근육, 정소, 난소)를 갖추고  유성생식을 하지만

몸체는 암컷, 수컷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암수 한몸을 이루고 있으면서 동시에

식물의 특성(광합성, 나이테 형성) .까지도 가지고 있고 폴립이 두개로 나눠지는 무성생식도 한다는 점에서

진화과정에서 쟁점으로 나오는 중간종의 missing 문제를 설명하는데 좋은 해답이 된다고 봅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해답을 못 찾겠네요. 도와 주세요.

뭐냐하면

산호는 입으로 프랑크톤, 물고기도 잡아 먹고 동시에 폴립에 공생하는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와 갈층조류Zooxanthelae의 광합성으로 영양공급을 받아서 살아가는 모양새인데 (???), 해수의 오염으로 서식환경이 나빠져서 조류가 빠져 나가버리면 광합성으로 공급되는 영양분을 못받아 먹어서 산호가 죽는다고 하지요? 죽으면 산호초(백화현상) 화석으로 변화되어 버립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과연 광합성하는 조류가 없어지면 산호가 입으로 먹는 먹이(플랑크톤, 물고기)만으로서는 생존이 불가능한가? 폴립에서 공생하는 광합성 조류를 산호의 몸체로 볼 수 있는가? 이것도 궁금합니다. 산호가 살아있는 동안에 광합성하는 것이므로 산호가 광합성한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지요??  단위면적 당 산호의 광합성 량이 열대밀림 보다 더 많다고 합니다. 


여기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해서 질문 겸 토론의 장을 마련합니다.   

아시는 분 혹은 좋은 자료가 있으면 공유하도록 협조를 기대합니다.


구글검색도 해 보고, 국립도서관에 가서 산호책<바다의 정글>을 찾아보았지만 이 궁금증의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가 OECD 40개 국가 중에서 과학상식이 꼴찌라는 박문호 박사님의 강의 중에 말씀을 듣고

또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보면 영국교수가 조사한 결과인데 세계 129개 도시별 지식수준 비교에서 <서울시>가 꼴찌 수준 109등이라는 점을 생각하면서 나부터 공부해야지 겸손해야지 하는 마음이 앞서게 됩니다. 우리 국민들의 지식수준이 세계꼴찌? 그래서 결국 오늘의 우리 현실문제가 뒤죽 박죽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사기꾼들로 가득한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