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6일 목요특강 강의에서 추천 도서입니다


한반도 형성사 
최덕근 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4년 06월 30일


책소개


한반도 형성과정의 역사를 판구조론 관점에서 그려 보려고 시도

판구조론은 현재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잘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지구의 과거와 미래의 모습도 그릴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제로 그동안 연구에 의하여 지난 3억 년 동안에 일어났던 대륙과 해양의 변천과정은 비교적 상세히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는 다양한 암석들이 복잡하게 어우러져 있다.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한반도 땅덩어리의 역사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내용이 많다. 저자는 지난 30여 년 동안 한반도 형성과정을 판구조론의 관점에서 접근하려고 노력해 왔다

목차

책머리에

1 부 한반도의 지질과 지체구조

1 장 한반도 개관

1. 한반도 지형

2. 판구조론 관점에서 본 한반도

3. 한반도 지질 개요

2 장 한반도 지체구조

1. 동아시아 지체구조에서 한반도의 위상

2. 북부지괴

1) 관모육괴 2) 마천령대

3) 낭림육괴 4) 평남분지

3. 중부지괴

1) 임진강대 2) 경기육괴

3) 충청분지

4. 남부지괴

1) 태백산분지 2) 영남육괴

3) 경상분지

5. 두만강대

6. 옥천대

3 장 옥천대의 지질과 층서

1. 신원생대 옥천누층군

1) 충주층군 2) 수안보층군

3) 지질구조

2. 하부 고생대 조선누층군과 옥녀봉층

1) 태백층군 2) 영월층군

3) 문경층군 4) 옥녀봉층

3. 상부 고생대 평안누층군

1) 삼척탄전 평안누층군 2) 영월탄전 평안누층군

2 부 한반도 지각진화

4 장 신원생대

1. 신원생대 이전

2. 신원생대 동아시아 지체구조

3. 남중랜드의 신원생대 진화과정

4. 충청분지의 형성과 진화과정

5 장 고생대

1.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 조선해

2.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퇴적사

3. 태백산분지의 중기 고생대 대결층

4. 중부지괴의 중기 고생대 조산운동과 퇴적작용

5. 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퇴적사

6 장 중생대

1. 중한랜드와 남중랜드의 충돌

2. 만입쐐기모델: 임진강대는 충돌에 의한 부가대

3. 다른 한반도 지구조모델에 대한 평가

1) 충돌대모델 2) 지각분리모델

4. 충돌 이후

1) 트라이아스기: 송림조산운동, 화성활동 그리고 퇴적분지 형성

2) 쥬라기: 대보조산운동, 화성활동 그리고 퇴적분지 형성

3) 백악기: 퇴적분지 형성, 화성활동 그리고 불국사변동
 

7 장 신생대

1. 동해의 형성

2. 신생대 퇴적분지

3. 주요 화산활동

1) 백두산 2) 울릉도

3) 독도 4) 제주도

4. 한반도의 미래

8 장 한반도 지각진화 요약

1. 한글 요약

1) 신원생대 2) 고생대

3) 중생대 4) 신생대195

2. English Summary: Geology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1) Introduction

2) Tectonic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3) Outline of the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4) Okcheon Belt199

5)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참고문헌

부록: 용어설명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우리는 우리가 밟고 있는 우리의 땅에 대해 얼마만큼 알고 있는가? 저자는 이 물음에 대해 어릴 때부터 삼천리금수강산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자랐고 지질학을 전공한 지 30년이 지나도록 우리 산과 강이 아름답다고 생각한 적이 별로 없었지만 2009년 어느 날 관악산에 올라갔다가 불현듯 눈앞에 펼쳐진 관악산의 아름다운 모습에 매료된 이후 우리나라의 명산들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고 고백하고 있다. 우리들이 산행을 하면서 혹은 계곡을 찾아 휴식을 취할 때 자연의 아름다움에 기쁨을 느끼며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의 내력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속한 집안의 내력을 알면 나의 존재가 소중함을 알게 되고 우리 고장이나 나라의 역사를 알게 되면 우리 이웃이 소중함을 알게 되듯 우리 땅의 내력에 대해 눈을 돌려 조금만 더 생각하면 우리나라 땅의 소중함에 대해 알게 되고 우리 땅의 아름다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 배가 되지 않을까? 저자는 이 내용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지질학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판구조론(板構造論)지구 표면이 해령, 해구, 습곡산맥 그리고 변환단층에 의하여 구분되는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판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는 지구 움직임에 관한 이론이다. 현재 판의 움직임에 따라 지구상의 대륙과 해양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과거 지질시대에도 대륙과 해양은 끊임없이 움직였고 앞으로도 계속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판구조론은 현재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잘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지구의 과거와 미래의 모습도 그릴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제로 그동안 연구에 의하여 지난 3억 년 동안에 일어났던 대륙과 해양의 변천과정은 비교적 상세히 알려져 있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동해를 넘어 일본열도 북동부에서 북아메리카판과 태평양판과 만나며, 남쪽으로는 남해와 멀리 동중국해를 지나 필리핀해판과 접하고 있다. 황해와 남해는 모두 대륙붕 위에 놓인 얕은 바다지만, 동해는 깊은 곳이 3,000m를 넘어 황해나 남해와는 판구조적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달리 표현하면, 황해와 남해는 대륙의 연장이지만, 동해는 해양이 되려다 실패한 바다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지질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인간의 역사보다 수백 배 긴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자연과 사회에 대해 좀 더 길고 폭넓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반도 형성과정의 역사를 판구조론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1한반도의 지질과 지체구조에서는 한반도를 이루고 있는 땅덩어리를 암석의 생성과정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 설명했다. 특히 제3장에서는 한반도 형성과정에서 일어났던 중요한 사건들이 가장 잘 기록되어 있는 옥천대의 지질과 층서에 관하여 자세히 소개하였다.

2부는 한반도 지각진화로 한반도에서 일어났던 사건들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마치 우리가 한국사를 공부할 때 고조선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나누어 다루는 것처럼, 한반도 형성의 역사를 신원생대(4), 고생대(5), 중생대(6), 신생대(7) 순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