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 오래된 신경 아틀라스북을 보면서

CIBA collection , 1983 Fank.H. Netter M.D.

 

20 년도 더 된 책이다. 내 책장에는 대학시절 보던 책중에 몇권이 여러 번의 이사와

세월의 산화에도 꿋꿋이 나를 부르고 있다. 최근 10년만에 우연히 펼쳐본 책이 위의 책이다.

 

책을 보면 떠 오른다. 기억이. 그곳엔 최신 지식을 원서로 보던 자부심이 있었다.

 짧은 시간에 많은 개념을 쌓아야 하는 중압감이 있었다. 시대의 정의를 몰라 할수 없었던 열정과  청춘의 고민도 있었다. 깊숙히 뒤져보면 종이사이, 뇌 사이에 스며드는 눈물이 보일 것 같아, 여기서 생각을 멈춘다.

 

따지고 보면 정원(定員) 2배가 넘는 학생들 300여명이 공부의 즐거움도 모르고 고통을 당했고,

그중 일부는 미리 갔다. 목숨을 건 연마 과정이었던 것같다 당시 우리는 몰랐지만

그 이후에 백혈병, 심근경색, 뇌출혈, 자살 등등으로 15년 내에 착하거나 외떨어진 동료친구들이

경계를 달리하여 우주와 하나 되었다. 나도 인턴하면서 흉부외과, 신경외과 돌면서 격무에 하루 3-4시간도 못자길 몇달하니 덜컥 급성간염에 걸려 진급시험도 치지 못하고 1년을 쉬어야 했다. 태어나자마자 죽는다는 애가 살아나고서는 두번째 죽음의 문턱에서 헤매던 나날이었다.

 

그런데 왜 나는 이책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것일까?

요즘 왜 박자세에 나와서 어슬렁거리고 있는 것일까?

 

궁금해 하는 동호인들에게 애기해주려고 해도 어디부터 입을 떼야할지?

애기를 듣는 것이 도움이 될지 확신도 서지 않은 와중에도 가끔씩 감정에 물든 기억을 내뱉곤한다.

 

시대를 앞서간 의사이자 천재 화가 Netter 의 발자취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일까?

보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직접 그리면서 그것을 느끼려고 하는 것일까?

젊은 날의 나를 위로하기 위해서일까?

기타 등등을 쓰지 말라고 하였지만, 참 이유가 가짓수로는 많을것같다.

 공부를 좋아했지만, 지독히도 못 가르치던 교수님들 밑에서 고생한 것에 대한 한풀이일수도

있겠다. 그때는 다들 그렇게 배웠다. (그런데 놀랍게도 주위 의대생들에게 물어보니

지금도 그렇게 배운단다.!!)


의학지식을 사랑하는 방법을 새롭게 배우니 즐겁다.

시간에 쫓겨 병명 위주로 배운 신경학과는 달리

지각감정인지행동의식을 진화학을 바탕으로 하여

뇌기능으로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지식을 음미하는 사람특히 전후좌우 극미무한 태초미래를 염주알처럼 꿰어

 보여주고 만져보게 하는 사람을 보고 있으면 경이롭다.


그런데, 아직도 뇌 속 깊은 쪽에서는 반응이 온다, 특히 칠판이 잘 안 보이는 상황이 오면 영락없이 무의식이 작동한다. 싫다. 목숨걸고 공부하던 콩나물시루같던 그 시절 그 느낌이 나를 감싸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속닥한 과학 리딩 모임이 좋다.   


 혼자 공부하긴 어렵다. 게을러져서 그러하다.  같이 공부하면서 이번 기회에 새롭게 기억을 공고히 하고 공부 한풀이가 되게하자. 과거로부터 무지로부터 자유로와 지고 싶다! 옹알이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