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존재는 좌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휴대폰에서 알려주는 시간과 자동차 네비게이션조차 좌표로 정의되고 비교된 값의 표현을 보여줍니다.
세상은 디지털이기에 가능합니다. 존재 자체가 디지털이기에 그렇습니다.
디지털 세상이 손 안으로 들어와 구글맵이 여행객의 발길을 세계 구석구석으로 안내하는 시대입니다.
이런 디지털 세상 전에는 손에 종이 지도를 들고 다녔고 아직도 종이지도가 편할 때도 있습니다.


지도는 "지구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의 상태를 일정한 비율로 줄여서 평면상에 나타낸 그림"을 말합니다.
지구라는 실체를 한 눈에 볼 수 없지만 지도라는 매개체의 도구를 통해 전체의 단서를 유추해 볼 수
있도록 한 장치입니다.
이 지도는 길을 잃지 않도록 하는 길라잡이입니다.
내가 있는 위치는 어디이고 내가 갈 길은 어디이며 최종 목적지는 또한 어떻게 가야하는지 예측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브레인 전두엽의 외적 표출이 종이의 평면에 펼쳐진 것과 같습니다.


또한 지도는 실생활의 안내자인 동시에 세상을 보는 눈이기도 했고 세상을 통치하는 도구이기도 했습니다.
'강리도'라고 들어보셨는지요?
본래 이름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壹疆理歷代國都之圖)'입니다.
조선 초기 태종 4년인 1402년에 만들어진 세계지도로 중국과 일본은 물론 유럽과 아프리카,아라비아반도까지
상세히 그리고 도시이름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그 이름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 가치를 서양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간파하고
15세기초에 제작된 세계지도로서는 세계 최고임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1402년은 서양에서도 아직 대항해시대가 시작되기 전입니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한 것이 1488년이며 바스쿠다가마가 희망봉을 돌아 인도까지 간 것이
1497년이며 콜럼부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것도 1492년입니다.
동양의 변방인 조선에서 어떻게 서양보다 거의 100년을 앞서 지도에 유럽과 아프리카를 상세히 담아낼 수
있었을까요? 조선의 탐험가나 역사가가 그 당시 다녀왔을까요?
물론 아닙니다.


강리도에는 제작 배경과 참고한 다른 원본 지도의 이름까지 적은 발문이 있습니다.
조선의 개국공신이었던 권근이 쓴 발문에는 원나라에서 제작된 '성교광피도'라는 지도와 '혼일강리도'를
참고하고 일본지도를 더 상세히 첨가하여 만들었다고 명기하고 있습니다.
강리도를 보면 한반도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그려, 당시 세계상을 재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권근의 발문에 "집을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알 수 있고, 지도를 보며 멀고 가까움을 아는 것은 다스림에도
보탬이 되는 법"이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면 조선 개국 초기의 원대한 세계관을 넓히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지도제작이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지도는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이고 사람들 마음속의 여행과 동경을 일깨웁니다.
지도는 종이위에 머물지 않고 세계관과 역사관까지 담아내는 지표로 작동했던 것입니다.

14세기 모로코의 여행가였던 이븐 바투타(Ibn Battuta 1304~1368)는 21살때 고향을 떠나 이집트를 거쳐
메카,인도,중국 베이징까지 왔다가 24년만에 돌아옵니다. 교통수단이 발달한 현대에도 가히 실행하기
어려운 코스를 무역상단을 따라 가며 여행을 했습니다.
탐험가와 여행가는 지도를 그려가며 가는 사람일텐데 이븐 바투타의 손에는 지도가 들려 있었을까요?
아니면 지도를 그려가며 갔을까요?


우리는 지난 일요일 생소한 지도 9장을 손에 들었습니다.
고생대 지도 6장과 중생대 지도 3장입니다.
6백여년전 인간의 손을 거친 고지도가 아닌 5억년을 넘나들며 지구가 만든 원초적 지도입니다.
감히 인간의 인지감각으로는 다가갈 수 없는 지구 시간의 역사가 9장의 지도에 담기는 현장을 목도했습니다.
그것도 모듈화되어 기억의 공간에 화살 꽂히듯 박혀듭니다.
그안에 지질과 지형의 변화과정이 담기고 그로인한 기후변화가 스며들며 생명의 확산과 식생의 변화 그리고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동쪽으로 걸어간 이유까지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생대 지도속에 모든 학문이 융합되어 들어있음을 알게 됩니다.
고생대와 중생대 지도는 대륙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차원을 넘어 인지공간의 왜곡을
바로잡아주는 채찍으로 다가옵니다.


세상을 보는 눈의 확장이 눈앞의 자연 풍광을 5억년의 파노라마로 동영상처럼 펼쳐지게 합니다.
그 안에 꽃이 피는 이유와 공룡의 발자욱과 숨쉬는 호흡의 자연스러움까지 스며 있습니다.
그저 옛날 이야기의 전개가 아니라 반드시 알고 지나가야 현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천리안의 현장이었습니다.
욕망의 차이가 지식의 차이를 만드는 현장은 그래서 언제나 뜨겁습니다.
리차드 도킨스의 "뱀은 땅에서 헤엄치고 고래는 바다에서 걷는다"는 명제를 이제는 이해할 것 같고
닐 슈빈이 아들에게 말하지 못하고 스스로 깨닫기를 바랬던 '달에 간 물고기'의 역사를 이제는 어렴풋이 알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