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태반 포유동물이다.

 

태반이 있어야 포유동물이 되지

epiblast의 작용으로 척색이 만들어지고

양막,

융모막,

그리고 드디어 태반이 형성된다

 

1. 척색(notochord) -- 물고기(구체적으로 창고기)로부터 포유류 인간까지

2. 양막(amnion) -- 조류,파충류,포유류

3. 태반(placenta) -- 포유류

 

그래서

notochord, amnion, placento 가 10억년 다세포 동물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양막'을 알면 조류 9600종, 파충류 7700종, 포유류 4600종이 그대로 정리된다는 것.

세상에.

한번에 모든 물고기를 잡아 올릴 수 있는 그물을 손에 쥐어 준거다.

혹시나 해서 집에 있는 몇 권의 발생학 책을 뒤져보았다. 이런 시각은 없다.

이건 탁월함 그 이상이다.

 

Epiblast do it all!

epiblast가 증식을 하게되면 hypoblast사이로 채워들어가게되고 케미컬 반응으로 다시 구멍이 뚫리면서 밑에 있는 hypoblast를 녹인다. 그 빈틈을 epiblast가 채웠다가 다시 동그랗게 말려들어가 끊어져 나온것이 척색인 것이다.

척색이 만들어지면서 '앞과뒤'가 생기게 되고(대칭의 깨짐)  이때 중배엽들이 만들어지면서  우리의 뼈와 근육과 힘줄,내장기관들을 줄줄이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그대로 생멸문의 나툼--너무 비약인가?)

 

그런데 어떤 세포는 이렇게 중요한 epiblast세포가 되고 또 어떤 세포는 그저 그렇게 애쓰다 사라지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그자리에 있었기' 때문이란다.

결국 공간의 문제.

<스피노자의 뇌>에서도  훌륭한 도시에서 태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박사님은 어느 부모밑에서 태어났는가보다도   더 중한 문제라고.

세포수준에서 부터 인간의 운명에 이르기까지

'내가 어디에 존재하고 있는가' 

'내옆에 누가 있는가'가 나를 결정해준다는 것이다.

 

인생에 있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이 바라는 구체적인 삶이 아니라

내가 어느 공간에 있을것인지를 정하는 것뿐이다.

 

전철을 타고 내려오면서 생각해본다. 박자세.

 

발생학,한번 해볼만하다.

오늘 첫강의부터 환희심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