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아텀” “팔리움이번 시간에는 Pallium을 뿌리 뽑는다.

이게 Pallidus(창백핵)랑 정말 헷갈린다.


이번 강의의 Key word는 Pallium, Striatum 이다.

Pallium That's All.


C cortex(대뇌피질) / P Pallium(외투) / S striatum(선조체)을 기억하자.

뇌의 개념을 정확하여 보여주고 있다.

 

박제세 학습은 하나라도 독립된 것이 없다. 모두가 연결되어 있다.

지식이란 90%이상 something different 해야 한다.

어리벙벙 어영부영 아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다.

전문가는 많이 아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전문가이다.

 

끌려야 공부를 한다. 중독의 회로, 파페츠회로를 살펴보면 신기하게 다 들어 있다.

공부라는 것이 묘미가 있다. 어쩜! 그렇게 아구가 맞는지!

박자세 공부중독 Pathway도 선조체가 뿌리이다. ㅋㅋ

습관적행동은 여기서 만들어 진다고 한다. 선조체(Pallium + Striatum)

Basal Ganglia.JPG

CPU: Caudate(꼬리핵, 미상핵) + Putamen(조가비핵) 이를 선조체라 부른다.

DS: Dorsal Striatum    

NAc: Nuclear Accumbens

OT: Olfactory Tubercle

VS: Ventral Striatum

DA: Dopamine(도파민)

운동로, 절차학습 그리고 습관의 형성이 어떻게 출력되는지를 알수 있었다.

인간에게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브레인을 공부해 보면 명확해진다.

CPG _2.JPG

TH: Thalamus(시상)

Pallidus: 창백핵

DA: Dopamine 도파민

CPG: Central Pattern Generator

Motion: 움직임

Posture: 자세

Saccades: 안구도약운동

브레인에서 운동출력의 Modulation은 도파민으로 조절한다.

입력은 감각이 담당하고 출력은 운동으로 한다. 즉 움직임을 말한다. 실행하고

행동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이것이 반복하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습관이라고 부른다.

인간 행동의 90%가 습관적 반응이다.

브레인에서 출력이라는 말은 80%이상이 운동이다.

걷는거나 생각하는 것은 같다. 자동적 교번운동을 통해 보행을 하고

생각을 통해 의식이란게 무엇인가를 고민해 본다.

위의 도표를 보면서 움직임과 자세와 눈의 움직임의 출력을 보았다.

내가 테니스를 처음배웠을때 두 분을 부릅뜨고 코치의 자세교정을 통해

바른포즈를 취하는 것이 운동을 잘하는 것의 80%이상이 된다는 말이 브레인 공부를

하면서 실감나게 다가 왔다. 어찌 운동 뿐일까 우리네 사는 것이 매사 한가지로같은 이치 겠지.

PFC3.JPG

PFC: Pre Frontal Cortex  

OFC: Orbito Frontal Cortex  

DS: Dorsal Striatum    

DP: Dorsal Pallidus

VS: Ventral Striatum  

VP: Ventral Palidus    

STN: Sub Thalamic Nucleus (시상밑핵)

SNr: Substantia Nigra Recticulata

VTA: Ventral Tegmental Area  

Olf: Olfactory  Amg: Amygdala  

MD: Medial Dorsal 

Pallium --> Striatum --> Pallidus  개념을 정확히 알자. 헷길리면 다 무너진다.

초파리 브레인 – Mouse Brain  쥐의 브레인을 상세히 그릴 수 있어야 한다.

쥐의 브레인을 그려본다.

Sensory Information4.JPG

OB: Olfactory Bulb  

BF: Basal Forebrain  

Hyp: Hypothalamus  

TH: Thalamus  

Hip: Hippocampus

IL: Infra Limbic    

PL: Pre Limbic    

OFC: Orbital Frontal Cortex  

PP: Parietal Posteria   

SMA: Suplemental Motor Area  

DLS: Doso Lateral Striatum  

DMS: Doso Medial Striatum

BLA: Baso Lateral (기저외측핵)  

CEA: Contral Amygdala

Approch -- Orientation -- Goal Directed  -  Habit

도파민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를 따라 가본다. 박사님의 개키우는 이야기를 통해 얼마나 간절하게

Vigor (열정)을 가지고 바라봐야 하는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지를 사례로 들어 본다.

Prefrontal Limbic은 감정을 만드는 영역이다. " 하고 싶다는 영역"이다.

Motivation은 Movivator가 작동해야 한다. 무엇을 하고 싶은 동기가 중요하다.

SNc(흑질선조로) Nigro Striatum Pathway가 고장이 나면 파킨스병이 걸린다.

기계적 단순 운동을 연상한다.

VTA(Ventral Tagment Area)는 중독감정하고 연결시켜야 한다.

선조시스템의 출력부는 GPi, SNr이 시상(Thalamus)로 연결된다.

Striatum & Pallidus (출력부)

PFC(Pre Frontal Cortex)에서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안다.


Dosal= 감각영역  Ventral= 운동영역

핵조가비5.JPG

NAc: Nucleus Accumbens(중격의지핵)

GPe: Globus pallidus external( 창백외절)

GPi:  Globus pallidus internal(창백내절)

CPu: Caudate(꼬리핵) + Putamen(조가비핵)

조기비핵의 단면을 그려보니 꼭 조갯살을 반으로 가는 모습이다. 이를 다시 입체적으로 그려보니 이번에는

배낭에 이름표를 달아 놓은 듯하다.  운동순서가 고정된 것이 습관이다.

PFC6.JPG

PFC: Pre Frontal Cortex

Hip.: Hippocampus

VTA: Ventral Tegmental Area

NAc: Nucleaus Accumbens

AC: Adenylic Cyclase

ATP: Adenosine Trip phosphate

cAMP: cyclic Adenosine mono phasphate

PKA: Protein Kinase A

CREB: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DAT: Dopamine Trans receptor

COMT: Catechol O Methyltransferase 

MSN: Medium Spiny Neuron

시냅스 전막에 있는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갭으로 방출되고 방출된 신경전달 물질이

D1 신경전달 이온채널에 결합하면 이온채널이 열리고 정보가 전달된다.

DAT는 Dopamine을 다시 시밸스 전막으로 다시 흡수한다. 이때 DAT역할이 줄어들면

시냅스사이에 도파민이 증가하고 이온채널의 활동이 여러번 반복되며 기능이 떨어진다.

마약중독의 증상을 상상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도파민의 양기 증가해도 반응이 떨어진다.

시냅스 Jungtion에 도파민이 증가되어 있는 상태가 중독이라고 한다.

이렇게 도파민이 증가하면 COMT가 분비하여 Methly기의 상태를 전환시킨다.

D1의 자극은 AC(Adenylic Cyclase)를 활성화 시키고 D2는 AC(Adenylic Cyclase)를 억제시킨다.

D1 자극은 AC(Adenylic Cyclase)를 활성화되면 ATP 에서 cAMP 로 바뀌고 이결과로

PKA와 cREB를 형성하고 DNA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MSN7.JPG

BLA: Baso Lateral Amygdala

MSN: Medium SPiny Neuron

VTA: Ventral Tegmental Area

BG: Basal Gangalia 기저핵

RMT: Rostro medial Tegmental N.

LDT: Lateral Dosal Tegmental N.(Pons에 있는 Acethylcolin 수용체)

LHA: Lateral Hypothalamus Area

E-AMY: External Amygdala

LHA: Lateral Hypothalamus Area

IN: Inter Nueron

NAc에 있는 neuron의 대부분이 MSN이다. 여기에 있는  interneuron의 이름이

Acholin-Acethyltransferase, Calbindin, ParValbumin, SomatoStratin이다.

이 인터뉴런의 이름을 기억하기 위해 몽골의 중흥조중의 한사람 부민칸도 기억한다.

칼빈딘은 활빈당을 연상하면 기억에 오래 남지 않을까? 역시 박사님의 지식의 통합은

여러모로 유용하다. 기억의 연결고리를 재미있게 연결시켜준다.

니코틴 중독(Nicotin Addictin] System을 통해 브레인의 기능을 살펴본다.

nicotin8.JPG

Amy: Amygdala  

Hb: Habenula

OFC: 

NAc: Nucleaus Accumbens

IPN: Inter Peduncular Nucleus

Hyp: Hypo thalamus

Hip: Hippocampus

SNc; Substancia Nigra

BS: Brain Stem

DS: Dorsal Striatum

ACC: Antario Cingulate Gyrus(대상회)

OFC: Orbito Frontal Cortex

Insula: 내섬

LDT: Lateral Dorsal Tegmental N.(Pons에 있는 Acethylcolin 수용체) 

Nicotin이 나오면 Achetylcholin수용체를 불러와야 한다.

Muscarin은 독버섯 수용체 이다.

흡연은 독을 애써 흡입하고 뱉어내는 행위이다.

몸속에 독을 넣는다? 그리고 담배연기는 비흡연자에게도 피해를 준다고하니

역시 흡연은 몸을 해치는 행위임에 틀림이 없다.

이것도 중독이라니 습관을 잘 들이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먹이가 있어야 하고,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내가 원하는 것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두 정보를 합하여야 원하는 것이 나온다. 즉 행동을 하게 된다.

 

욕망을 일으키는 시스템이 Limbic System (변연시스템)이다.

VTA(복측피개영역) - ACC - PFC   Dopamine System을 살펴보면서 욕망의 진화가 인간의 문화를 만드다는

박사님의 말씀이 다시 한번 상기 되는 시간이다.

 

인간이 출력을 마음대로 할수 있는 것이 운동이다. 생각도 운동이다.

따라서 인간은 생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무엇을 언제 어떻게 왜 하는냐 하는 매카니즘도

브레인공부를 하면서 얻은 보너스 이다.

뇌를 공부한다는 것은 자신의 행동은 매순간 살펴보는 것이다.

생각을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습관을 의도적으로 생성한다.

오늘 학습의 Key Point: Pallitum 과 Striatum을 통해 나를 살펴본다.

Pallium That's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