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몽골 해외학습탐사 일지 (2/5)


글 : 신경남, 편집 :  강현주


몽골스케치2_small.jpg


3일 차 2018. 08.04


아침에 비가 잠깐 내리듯 하다 멈춰 얼른 스케치 도구 챙겨 야생화 중심으로 간단히 스케치하다보니, 몽골의 초원은 습기를 머금은 채 야생화 꽃잎과 풀잎에만 빗방울을 달고 있다. 야생화의 허브 향기는 더욱 주변을 진동시키고 아침 하늘의 붉은 빛은 회색 구름을 밀어 낸다.

아침 강의는 동아시아 역사범주에서 징기스칸 가족과 몽골 제국, 페르시아 왕조와 티무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박문호 박사님이 개발하신 네모 도표는 외우기도 쉽고, 국경을 확인할 수 있어, 왜 서로 분쟁이 있을 수 밖에 없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_DSC4100.jpg


아래 도표와 북방 민족 순서는 이제 눈을 감고도 그려진다.

_DSC4103.jpg


강의 끝난 후 텐트와 주변을 정리하고 아무르바이 채클란트/잔나바자르를 기리는 절로 향했다.

중간에 점심은 초원에 널려있는 부추와 유채 잎을 따서 즉석 샐러드를 겸한 샌드위치로 기분 좋게 먹은 후 북방 민족 연대를 중심으로 점심 강의가 진행되었다.


_DSC4123.jpg

 

절로 가는 길은 험란한다. 이젠 4D 영상관에 들어가서 20분을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20도 기울어진 사진을 찍었어야 하는데... 곧 옆으로 쓰러질 듯하면 내장기관들이 놀라서 어쩔 줄 몰라 한다.


_DSC4151.jpg


넓은 허허벌판에 세월의 흐름을 안은 절이 유지라는 명칭으로 동그마니 있다. 들어가는 입구에 큰 비석이 있고 여기에 위구르 글자로 절에 관한 기록이 되어 있는데 우리를 가이드 해 주시는 몽골의 유로아저씨는 읽고 해석을 못하신단다.

이 무슨???

20180804_151933_small.jpg

유로아저씨 말씀으로는 몽골이 러시아의 영향력을 크게 받고 있으며 그 힘으로 러시아에서 몽골 글이 아닌 러시아 글로 읽고 쓰게 한다며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라 한다. 그래서 몽골 글은 일부 노년층에서만 읽고 해독할 뿐 현재 젊은 층은 거의 없단다.

 

예전 몽골이 개방하면서 러시아 글자를 사용하여 몽골 고유의 글을 잃어가는 현상에서 몽골의 지도자와 지식인들의 애국심이 의심스럽다. 우리는 일제 지배시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끝까지 지켜온 현실과 비교된다.

국력이 지닌 힘의 논리라...

순간 아침에 먹은 누룽지가 몽골과 직접 연계는 없지만, 여진족을 통일 하여 후금을 세운 만주족이자 청나라 황제인 누루하치로 명칭이 바뀔라 한다.

안타까움에 맘이 쓰인 것인가? 국력은 힘이다!!! 근데 어떤 힘이냐?

하자!!! 이노무 공부 하자!!! 몽골의 현실이 남의 일 같지 않다,

 

숫자 39의 비밀 : 잔나바자르는 도른노르에서 1639년 황교수장(갤룩파 : 잽춘담바훅툭투)으로 옹립되었다.20180804_152522_small.jpg


저녁 야영지 도착 후 얼른 텐트치고 식사한 후 근 1시간여 저녁 공부한다.


_DSC4188.jpg


오늘은 프로젝터를 설치해서, 몽골학습 책을 훑어 주셨다. 


_DSC4206.jpg


여기는 아침 식사 후 공부

점심 식사 후 공부

저녁 식사 후 공부 이다.

 

하루 세끼 먹듯이 공부도 하루 세 번 먹는다.

 

 

4일 차 2018. 08. 05

 

새벽에 텐트를 노크하는 빗소리에 잠이 깼다. 얼마 만에 머리 바로 위에서 들어보는 리듬 소리인가? 지척에서 듣는 빗소리가 기분 좋은 드럼소리 같아 정겹다. 그래 몽골의 아침 빗소리는 드럼으로 연주하는 행진곡이다. 그래서인가 자연스레 내 마음 속은 빗소리에 맞춰 경쾌한 박자질로 까딱여 진다.

우중 관계로 아침 메뉴가 컵라면으로 바뀌었다. 습기를 머금은 무거운 공기를 뚫고 올라오는 국산 컵라면 향기는 그 맛을 한층 높여주었다.

_DSC4218.jpg


20180805_085911.jpg

비가 와도 아침 학습은 진행된다. 아침 학습 후 흉노-선비-돌궐-위구르-키르키즈-거란-몽골---청 순서와그 내용을 몽창 외우란다. 이곳의 특기는 외우는 것이다. 외우자...외워진다...

_DSC4224.jpg  


다음 목적지는 화산지역과 위구르 성을 거쳐서 가는 곳으로 여정의 거리는 600km,

 

점심에도 비가와 초원에서 즉석 샌드위치를 44명의 인원이 40분 만에 후다닥해치운 후 이동하는 중 비가 개었다. 비가 갠 몽골의 풍경은 투명 그 자체로 드넓은 초원이 몽골 지역 특징인 노년기의 낮은 능선을 따라 붙으며 보랏빛과 레몬 노랑 빛의 야생화 군락으로 군데군데 물들이고 있다. 푸르른 하늘엔 뭉개구름이 피어올라 나무젓가락 들고 휘저으면 사르르 녹는 달콤한 구름과자가 한 아름 딸려올 것 같다,

 _DSC4239.jpg


화산지역에 도착 후 두 개의 제주도 오름처럼 생긴 화산을 보았다. 주변의 암석을 근거로 간략한 암석학을 강의 하신 후 현장에서 중앙아시아 메인 세력이 이슬람 이라며 수니파와 시아파 유래에 관한 공부를 강행 하신다.

20180805_144323.jpg


_DSC4244.jpg


곧이어 위구르 토성으로 출발했다.

위구르 토성은 넓은 허허 벌판에 다소 큰 사각 형으로 조금의 토성 잔재로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_DSC4277.jpg

위구르 족은 울란 바르트에 이러한 토성을 34개 구축했고, 성을 구축한 후 지도자는 성 안이 아닌 성 밖 게르에서 지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유목민의 진취적이고 전투적인 자세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란다. 지도자 위치에서 안일함에 자신들을 놓지 않겠다는 이 부분이 배울 점 인 것 같다. 이런 매서운 기질을 지닌 위구르는 840년에 멸망 했지만,  이곳으로부터 400km 떨어져 있는 곳에 수도를 구축하였고 그 이름은 카라발가숨이다. 그리고 통상교역의 원조가 소구드 상인들 이지만, 위구르는 당나라가 수도 함락 위협 시 당나라에 들어가 도움을 주었고, 이를 계기로 무역, 종교 등이 전파되면서 통상교역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통상교역으로 인한 활성과 그 많은 토성을 구축한 능력과 전투적이고도 유목민의 기질을 놓치지 않았던 위구르는 내분으로 인해 키르키즈에 의해 붕괴되기에 이른다....그 어디나 절재와 중도의 균형을 잃은 권력의 욕심과 욕망의 끝은 ............지도자를 잘 만나는 것도 큰 복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가장 깊게 잘 잔 숙영지에 도착했다. ^^ 벌레도 없고, 풀도 짧고, 주변 경관은 멋드러지고.

_DSC4285.jpg


저녁은 전투식량인데, 계란 후라이까지 들어간 비빔밥이었다. 

20180805_201403.jpg


저녁 강의는 하신 가문의 마호메트에서 시작해 암기할 가계도에서 시작했다. 이베리아 반도의 정통칼리프(632-661, 옴마이아 왕조(661-750), 압바스 왕조( 750-1258 ) 암기. 티무르제국의 역사까지.


_DSC429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