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백운대에서 바라보는 서울과 태조 이성계가 바라 본 서울을 어땠을까를 생각했습니다.

구름처럼 피어오른 수 많은 아파트와 뿌연 매연이 아래에 놓여 있었습니다.

 

같이 간 직장 동료는 평소에 매던 가방에 운동화를 신고 왔습니다. 그리고 잘도 산을 타더군요.

중요한 것은 여기에 있었습니다. 그냥 한 것이지요. 등산화 사야하고, 배낭도 있어야 하고, 스틱도

있어야 하고, 심지어 시간도 있어야 한다며 차일 피일 미루다보면 시간만 지납니다.

2013-05-01 12.18.34.jpg  

시간과 시간 사이에 짬이라는 시간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저는 매일 층계를 올라다니고 어지간한

거리는 걷고 있습니다. 한 번이라도 더 움직여야 몸훈련이 되기 때문입니다.

 

산을 오르는 행위는 정확하게 내 몸의 상태를 점검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내 몸의 취약 부분은

평소에는 잘 모릅니다. 70 조개나 되는 세포를 뇌를 모두 관찰하고 살필수는 없는 노릇이니 그러합니다.

 

몸은 정확하게 2가지 조건이 발생하면 아픕니다. 너무 많이 쓰거나 너무 안 쓰거나 입니다. 평소에 잘 쓰지

않은 근육은 많이 쓰면 아프게 됩니다. 전문용어로 DOMS(Delayed onset muscle soreness)라고 합니다.

쓰지 않던 근육을 많이 쓰면서 근육 섬유가 찢어지고, 칼슘이 침착되어 일어나는 통증반응이지요.

 

이 상태가 지나면 근육은 필요한 부분만큼의 크기를 확보하게 됩니다. 근육의 활동량이 늘어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뇌가 좋아진다는 사실입니다.

 

'셔츠 밑의 자신감' 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운동을 단지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등산을 한 번 했다고, 혹은 헬스장에서 운동을 한 시간 했다고, 자전거를 탔다고 몸이 좋아진다고

느껴질까요? 진짜 몸이 좋아져서일까라는 질문입니다.

 

이것은 뇌가 좋아졌기 때문입니다. 운동으로 가장 먼저 건강해지는 건 몸이 아니라 바로 뇌입니다.

그래서 기분이 좋아지고 힘이 넘친다고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몸이 좋아졌을 때 남들에게 보여줄 수는 없지만 나는 느낄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셔츠 밑에 터질 듯한 자신감입니다.

 

박자세 학습법 중에 몸훈련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효율적 공부를 위한 접근법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집중력입니다. 이 집중력은 쉽게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학교 다닐 때

수업에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집중력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 학생들의

신체능력이 좋을까요. 그것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집중이 올라간다는 것은 책을 열심히 보고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 지니는 덕목 정도로 치부하면 안됩니다.

 

137억년 우주진화나 특별한 뇌과학은 4시간 이상을 집중해야 하는 강의입니다. 그 내용 또한

심오하기 그지없습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을 강의하고 세포의 센트럴 도그마에

대해 강의하는 곳은 없습니다.

 

이 놀라운 강의가 있는 곳이 바로 박자세입니다. 이 강의를 준비하고 강의하시는 박문호 박사님은

놀라운 집중력의 소유자임이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오늘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그 강의를

초롱초롱한 눈으로 따라가는 청중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비단 집중력이 높기

때문이 아닙니다.

 

평소에 몸훈련을 통해 '셔츠 밑의 자신감'이 받쳐주기 때문입니다. 몸훈련을 통해 버틸 수 있는 체력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북한산을 오르며 간만에 움직이는 움직임에 다리의 대퇴사두근이 꿈틀거렸고, 장딴지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이 경련을 일으켰습니다. 한 발 한 발 오르며 쉬는 시간도 아까워 억지스레 올라갔습니다.

 

정상에 부는 바람을 느끼고 왔습니다. 한 번의 등산으로 몸이 좋아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얇은 옷 밑에 꿈틀대는 자신감은 확실히 느끼고 왔습니다. 타인은 느끼지 못하는 내면의 자신감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하고자 합니다.

2013-05-01 17.19.08.jpg

북한산 입구에서 바라본 봉우리

 

2013-05-01 17.19.06.jpg

 

북한산 맑은 계곡물

 

2013-05-01 14.29.03.jpg

백운대에서 바라 본 서울 시내 - 이 곳에서 태조 이성계가 백운대라는 이름을 지었다.

 

2013-05-01 12.18.15.jpg

저 뒷 편으로 백운대가 보입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