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가 마음에 오다
- 의식하는 뇌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안토니오 다마지오 (지은이),노민화 (옮긴이)
그린비 2025-10-10
원제 : Self Comes to Mind: Constructing the Conscious Brain



책소개


나는 이 책에 완전히 매료되었다. 안토니오 다마지오는 신경과학에서 거둔 탁월한 성과들을 진화생물학과 문화 발전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풀어낸다. ― 요요 마(첼리스트, 그래미상 수상자)


의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세계적 석학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자아가 마음에 오다』는 이 물음에 생명의 언어로 답한다. 인간 의식을 생명의 가장 깊은 층위에서부터 해명하려는 그의 시도는 놀라울 만큼 구체적이다. 뇌간과 시상, 대뇌 피질 등에서 드러나는 감정·몸·이성의 복합적 상호작용 속에서 ‘생명의 자기 감각’이 어떻게 의식으로 진화하는지를 추적하며, 생명이 스스로를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 의식의 기원을 탐색한다. 뇌과학자 박문호의 평가처럼 “신경해부학의 깊이를 더한 이 책은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최고 역작”이라 할 만하다.

생명을 이해하는 방식이 바뀌면, 인간을 가르치는 방식도 달라진다. 마음을 사고의 기능이 아니라 생명이 스스로를 느끼는 과정, 즉 존재가 자신을 인식하는 진화적 메커니즘으로 보는 다마지오의 관점은 오늘날의 교육이 잃어버린 것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의식은 신체의 균형을 지키려는 충동에서 출발했지만, 인간에게 이르러 공감과 책임, 윤리의 감각으로 변형되었다. 인간이 단지 생명을 ‘유지하는 존재’를 넘어 서로의 생명을 ‘돌보는 존재’로 나아간 과정을 담은 이 책은, 생명과 자아, 의식을 하나의 연속적 서사로 엮어 냄으로써 과학이 철학의 언어를 되찾는 순간을 기록한다.




목차


추천의 글 5

제1부 다시 시작하다

1장 잠에서 깨어나다

목적과 이유 26

문제에 다가서다 28

목격자로서의 자아 38

호도하는 직관 극복하기 40

통합적 관점 43

얼개 47

주요 아이디어 선공개 51

생명과 의식을 가진 마음 62

2장 생명 유지에서 생물학적 가치까지

의식의 비개연성 67

자연적 의지 69

계속 살아남다 82

항상성의 기원 85

세포, 다세포생물, 공학 기계 87

생물학적 가치 89

유기체 전체의 생물학적 가치 92

인간의 초기 선조들의 성공담 95

인센티브 개발 99

항상성, 가치, 의식의 연결 고리 102

제2부 마음이 존재할 수 있는 뇌 속에는 무엇이 있을까?

3장 지도 제작과 이미지 형성

지도와 이미지 113

표면 아래로 파고들기 117

지도와 마음 123

마음의 신경학 128

마음의 시작 134

마음 만들기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고 있는가 148

4장 마음속의 신체

마음의 주제 153

신체 지도화 157

신체에서 뇌로 163

양은 표상하고 질은 구상하고 167

원초적 느낌 169

신체 상태 지도화와 시뮬레이션 170

아이디어의 진원지 176

신체-마음-뇌 178

5장 감정과 느낌

감정과 느낌의 자리매김 181

감정과 느낌 정의하기 182

감정 유발과 실행 186

윌리엄 제임스의 별난 사례 190

감정의 느낌 193

우리는 어떻게 감정을 느낄까? 198

감정과 느낌의 시간성 202

감정의 다양성 203

감정의 상한선과 하한선 206

감탄과 연민에 대한 단상 208

6장 기억의 구조적 설계

어디선가, 어떻게든 215

기억 저장의 본질 219

기질이 먼저, 지도는 나중에 220

기억의 작동 방식 224

기억의 종류에 관한 짤막한 첨언 228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 230

수렴-발산 지대 232

수렴-발산 지대에 대한 추가 고찰 236

모델의 실제 적용 238

지각과 회상의 방식과 위치 246

제3부 의식을 가진 존재

7장 관찰된 의식

의식의 정의 253

의식 분해하기 256

자아는 사라져도 마음은 남는다 262

실용적 정의를 완성하면서 267

의식의 종류 269

인간의 의식과 비인간의 의식 275

의식을 둘러싼 오해 276

프로이트의 무의식 283

8장 의식을 가진 마음 구축하기

작업 가설 289

의식을 가진 뇌로의 접근 293

의식을 가진 마음 선공개 295

의식을 가진 마음의 재료 298

원자아 304

핵심자아의 형성 319

핵심자아의 상태 325

의식을 가진 마음을 구성하는 뇌 탐방 328

9장 자서전적 자아

기억이 의식이 되다 333

자서전적 자아의 형성 335

협응의 이슈 337

코디네이터들 339

후내측 피질의 잠재적 역할 342

후내측 피질의 작동 원리 348

후내측 피질에 관한 추가 고찰 352

의식의 병리 현상에 관한 마무리 371

10장 갈무리

최종 점검 377

의식의 신경학 380

의식 있는 마음 뒤편의 해부학적 병목 현상 389

해부학적 구획의 협연에서 신경세포의 독주까지 392

자신의 지각을 느낄 때 395

감각질 Ⅰ 396

감각질 Ⅱ 400

감각질과 자아 409

남겨진 의문 410

제4부 의식 이후 기나긴 시간이 흐르고

11장 의식과 더불어 살아가기

의식이 살아남은 이유 415

자아의 통제 이슈 418

무의식에 관한 단상 424

유전적 무의식에 관한 첨언 432

의식적 의지의 느낌 435

인지적 무의식 교육하기 436

뇌와 정의 440

자연과 문화 443

자아가 마음에 오다 448

성찰적 자아의 귀결 452

부록 463

감사의 말 489

옮긴이 후기 493

찾아보기 522



저자


안토니오 다마지오 (Antonio Damasio) (지은이)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드 돈사이프 신경과학과・심리학과・신경학과 교수 겸 뇌와 창의성 연구소 소장이다. 다마지오의 또 다른 저서로는 『데카르트의 오류: 감정, 이성, 그리고 인간의 뇌』, 『느낌의 발견: 의식을 만들어 내는 몸과 정서』(『뉴욕타임스』 북 리뷰 올해 최고의 책 10권 중 하나로 선정), 『스피노자의 뇌: 기쁨, 슬픔, 느낌의 뇌과학』,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느끼고 아는 존재: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등이 있다. 페소아상, 시뇨레상, 코자렐리상(아내 한나 다마지오와 공동 수상), 아스투리아스 과학기술상 등 수많은 명예로운 상을 받았다. 또한 미국 국립과학원 의학연구소, 미국 예술과학아카데미, 유럽 과학예술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로스앤젤레스에서 연구와 강의를 계속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자아가 마음에 오다>,<느낌의 발견>,<느끼고 아는 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