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당신이 무인도에 간다면 무엇을 가져가고 싶은가?

살면서 이런 질문을 읽어보거나 들으본 적이 있을겁니다.


중학교 2학년 때 제가 그 질문에 뭐라고 대답했는가 하면

'수학, 과학 교과서'였습니다.

겨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였지만

대수와 기하, 과학의 기초를 처음 배우면서

어린 마음에 인류 문명의 정수가 그 안에 있는듯한 느낌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다른 책들도 많이 읽었지만 이상하게 교과서는 저에게 좀 더 특별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해가 바뀌어도 항상 교과서를 버리지 않고 모아두었습니다.

교과서 사랑은 아마 그때부터 시작된 것 같습니다.



처음 미국에 와 살면서 한 1년 영어책 읽기 모임을 할 때도 다른 분들께

영어 교과서(4학년)를 읽자고 했습니다.

전문가들이 4학년 아이들에게 필요한 영어수준의 소설을 엄선해 놓은 책이라 생각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읽는 내내 정말 내가 영어 실력이 없구나 하는 걸 느끼고 힘들었지만

그렇게 4학년 영어 교과서를 반정도 읽고 나니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답답해서 영어로 된 책 그자체를 멀리하던 부담감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다보니

아이가 학교에서 숙제하느라 들고오는 수학 교과서를 읽게 되었고

점차 미국 고등학교 물리, 화학 교과서들도 중고를 구입해서 읽었습니다.

도서관 중고서적 판매 코너에 가면 교과서 나온게 없는가 살펴 보는게 습관이 되기도 했습니다.

운이 좋으면 하드커버 교과서를 단돈 2달러에 구입할 수 있었거든요.

(요즘은 그냥 아마존에서 중고 교과서를 구입하는데

저의 이런 성격때문에 집에 유달리 교과서가 많습니다.^^;;;)


학창시절 수학, 물리, 화학은 필수과목이라 기본 지식이 있지만
생물분야는 전공과 멀어서 배울 필요도 없었고 애초에 관심 조차 없었는데

30대 후반부터 갑자기 생물학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4년 전 한국을 방문했을 때 박문호 박사님의 '뇌, 생각의 출현"을 구입해와서 읽고

뇌, 유전학에 대한 여러가지 교양서적을 읽다가 단편적인 내용들에 갈증을 느껴

결국 대학일반생물학 교과서(캠벨)를 읽기 시작했고

얼마전에는 필수유전학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에 한국에 주문을 했습니다.

사고 싶은 교과서가 더 많이 있지만 미국에서 한국으로 주문해야하는 부담감에

있는 책부터 읽고 사자는 마음으로 꾹꾹 눌러놓고 있습니다.


필수유전학이 도착할 즈음에 박자세에 가입했는데

박자세에서는 교과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고 너무 반가웠고

많은 분들이 함께 읽는다는 것이 부러웠습니다.


지금까지 정말 한번도 대학과학전공교과서를 읽는 일반인들을 만난적이 없었거든요.

박자세에서는 교과서를 읽는 제가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서 참 마음이 편안합니다.^^